몰입(Flow)-경험의 최적화에 대한 심리학(1)
몰입-경험의 최적화에 대한 심리학
Flow-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Mihaly Csikszentmihalyi/Harper Perennial(1990)
240 pages
Flow에 대해서 읽다.
제일 처음 flow를 접하게 된 것은 인터넷에서 핑(Ping)에 대한 자료를 검색할 때였다. 물론 그때의 flow는 동양철학에서의 순리에 가까운 의미의 단어였다. 그리고 여기서 전혀다른 의미의 flow를 읽고 있다. 사전적 의미로는 to move in a stream, circulate, rise, abound etc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저자는 flow의 의미를 다르게 보고 있다. flow로는 결국 언제 행복을 느끼는가? (When do you feel happy?)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1장. Happiness Revisited(행복에 대한 재고찰)
소개/개요/불만족의 원인 설명/문화의 장막/경험의 재주창/자유의 길
P4
Flow-the state in which people are so in an activity that nothing else seems to matter; the experience itself is so enjoyable that people will do it even at great cost, for the sheer sake of doing it.
(Flow- 하나의 행위에 푹 빠져서 다른 어떤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상태; 경험자체가 너무 즐거워서 어떤 희생을 치루더라도 다시 그것을 하고 싶은 경험.)
이것을 '몰입'이라고 번역할 수 있을까?
위의 정의만 보면, 이것을 우리는 '욕망'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 욕망이 눈을 뜨면, 다른 모든 것들은 눈을 감는다는데...
무언가 다른 점이 있겠지. 계속 읽어보자.
P5
Overview에서 책 전체 구성에 대한 소개를 하다.
불만족의 원인 설명/문화의 장막/경험의 재주창/자유의 길을 읽다.
P23
2장.The Anatomy of Consciousness (의식의 구조)
약간 학술적인 내용이라 �어읽기로 빨리 읽다. 세부내용은
의식의 한계/정신에너지로서의 주의집중(attention)/자아로 들어가기/의식의 무질서: 정신적 엔트로피/의식의 질서: 몰입(Flow)/자아의 복잡성과 성장
P42
Flow is important both because it makes the present instant more enjoyable, and because it builds the self-confidence that allows us to develop skills and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humankind.
(몰입은 두가지 면에서 중요하다. 하나는 그것이 현재의 순간을 더욱 즐길 수 있게 만들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이 자신감을 키워, 우리가 기술을 개발하고 인류에 지대한 공헌을 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3장: Enjoyment and the Quality of Life(즐거움과 삶의 질)
쾌락과 즐거움/즐거움의 요소/자기목적적 경험
즐거움의 요소: 기술을 요하는 도전적인 활동, 행동과 인식의 통합, 분명한 목표와 피드백, 현재하는 일에 대한 집중, 통제의 패러독스, 자의식의 상실, 시간의 변화
P70
The flow experience, like everything else, is not "good" in an absolute sense. It is good only in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make life more rich, intense, and meaningful; it is good because it increases the strength and complexity of the self.
몰입의 경험은,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절대적인 의미에서 선한 것은 아니다. 몰입의 경험은 삶을 더욱 풍요롭고, 강렬하며, 의미있게 만들 가능성이 있을 때에만 선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자아의 힘과 복잡성을 증가시킬 때 선하기 때문이다.
몰입에 대해서 계속 생각하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경험을 여러가지 삶의 순간에 경험했다고 생각이 들었다. 예를들면, 책을 읽을 때, 산을 탈 때, 실내암벽활동을 할때 등. 한 때 인터넷에 중독되기도 했는데, 이것은 몰입과 다른 개념일 것이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몰입의 경험은 그것이 우리의 삶을 좀 더 의미있게 변화시킬 때에만 선이라는 주장에 동감하기 때문이다.
몰입과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들은 많다. 중독, 탐닉,
왜 몰입이 필요할까? 삶을 더욱 삶답게 해주기 때문에, 나를 더욱 나답게 해주기 때문에.
몰입의 대상이 있다는 것은 행복한 것이다. 때론 아무것도 관심을 가질 만한 것도 없고
그래서 일상이 무료해지는 정말 따분한 시기도 있었기 때문이다. 무언가 빠질만한 것이
있다는 것은 좋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렇게 사랑에 목말라하는 것은 아닐까?
삶에 몰입하기 위해서.
그러나 몰입시 주의사항.
나의 몰입이 다른 사람이 삶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뺐지 않아야 한다.
P70
The task is to learn how to enjoy everyday life without diminishing other people's chances to enjoy theirs.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