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08.11.27 미국섹션번역] Lexington-Head of State(국무장관)
이번엔 포스팅이 많이 늦었죠. 힐러리 클린턴을 국무장관에 임명하는 것에 대해 미국에서 말들이 많은것 같네요.
저자는 이번 임명이 장단점이 있지만, 힐러리의 스타파워와 해당분야의 지식 및 인적관계를 고려하여 결국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 같습니다.
Lexington
Head of State(국무장관)
Nov 27th 2008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The Obama-Clinton soap opera is set to run for another few years
(오바마-클린턴 드라마가 또 다른 몇 년을 향해 달려 갈 준비를 하고 있다)
AT THE height of the recent Democratic civil war, Samantha Power, an Obama adviser and a student of genocide, told a Scottish newspaper that Hillary Clinton was a “monster”. Ms Power had no choice but to resign. But she was only giving voice to what most Obamaites happily said in private.
최근의 민주당 내전(경선)이 최고조에 달할 때, 오바마의 보좌관이며, 대학살의 학생인, 사만다 파워는 스코틀랜드 신문에 힐러리 클린턴은 “괴물”이라고 말했다. 사만다 파워는 결국 사직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녀는 대부분의 오바마 지지자들이 사석에서 즐겁게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을 이야기 한 것 뿐 이었다.
Mr Obama’s apparent decision to offer the job of secretary of state to his old rival has inevitably caused a furore. There is a long tradition, going back to John Quincy Adams and Henry Clay, of treating “State” as a consolation prize. But Americans are nonetheless obsessed by divining the meaning of the choice. Is Mr Obama kissing Mrs Clinton’s ring? Or is he trussing her up in a golden straitjacket? They are equally obsessed by deciding whether it will work or not. Will the Clintons undermine Mr Obama’s administration? Or will they complement it? Is this, in short, a marriage made in heaven or in hell?
오바마가 그의 오랜숙적에게 국무부장관자리를 제공할 것이라는 확실시되는 결정은 불가피하게 많는 분노를 자아내게 했다. ”국무부장관” 자리를 위로상(consolation prize)으로 생각하는 오래된 전통은 존 퀸시 아담스(제6대 대통령 1825-1929재임)와 헨리 클레이(국무장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선택의 의미를 점치는데 몰두하고 있다. 오바마가 힐러리의 반지에 입을 맞춘것인가? 또는 그는 그녀에게 황금구속복(golden straitjacket)을 채운것인가? 그들은 이번 임명이 작동할지 안할지를 결정하는 것에 몰두하고 있다. 클린턴 부부가 오바마 행정부의 기초를 위태롭게 할까? 또는 그들이 보완해주는 역할을 할까? 간단히 말해서, 이것이 천생연분(marriage made in heaven)일까 아니면 악연일까?
Many hard-core Obama supporters are furious about the decision to embrace the “monster”. They did not spend two years of their life working for “hope” and “change” only to see the Clintons and their various incubuses and succubuses restored to power. The man who promised to transform Washington is doing nothing more than turning the clock back to the 1990s.
많은 강성(hard-core) 오바마 지지자들은 “괴물”을 끌어안기로 한 결정에 분노한다. 그들은 지난 2년을 “희망”과 “변화”를 위해 일했는데, 결국 클린턴 부부와 그들의 다양한 악마와 마녀(클린턴 행정부의 인사들)가 권좌로 복귀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워싱턴을 변화시키겠다고 약속한 사람이 시계를 1990년대로 돌리는 일에 불과한 일을 하고 있다.
*incubuses: [잠자는 여인을 범한다고 믿어진] 악마, 악몽(nightmare), 부담이 되는 사람 *succubus: [수면중인 남성과 성교한다는] 마녀 *nothing more than=only
A lot of old Washington hands are also dubious about the decision. Thomas Friedman, a New York Times columnist, argues that, if they want to have a successful foreign policy, presidents need to have a close personal bond with their secretaries of state: witness Richard Nixon and Henry Kissinger or George Bush senior and James Baker. There can be no such bond between former (and perhaps future) rivals, particularly when they have such marked differences of generation and style.
많은 정가의 사람들(Washington hands)은 또한 그 결정에 대해 회의적이다. 뉴욕타임즈 컬럼니스트인, 토마스 프리드만은 만약 그들이 성공적인 대외정책을 하려면 대통령은 국무장관과 친한 개인적 유대관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리차드 닉슨(제37대 대통령, 1969-1974재임)과 헨리 키신저, 또는 조지 부시 시니어(제41대 대통령, 1989-1993 재임)와 제임스 베이커에서 목도했듯이 말이다. 이전의(아니 아마도 미래의) 라이벌 사이에 그런 유대관계는 가능하지 않다, 특히 그들이 세대와 스타일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David Broder, of the Washington Post, worries that Mrs Clinton will escape from Mr Obama’s straitjacket and try to fashion an independent foreign policy (“He needs an agent, not an author”). Old foreign-policy hands argue that it is foolish to appoint somebody you cannot sack. And everyone worries about Bill Clinton. Will his global junketing create conflicts of interest? Will he be able to resist giving his advice to his wife—or to stray journalists? What happens if team Clinton and team Obama disagree over what to do when that 3am call comes in?
워싱턴 포스트의 데이비드 브로더는, 힐러리는 오바마의 구속복을 벗어나와 독립적인 외교정책을 만들어내려 할 것이다 점을 걱정한다. (“오바마는 대리인이 필요하지, 직접 정책을 만들 사람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오래된 외교정책 담당자들(old foreign-policy hands)은, 당신이 해고할 수 없는 사람을 임명하는 것은 어리석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빌 클린턴에 대해서 걱정한다. 그의 글로벌 향연이 이해상충(conflicts of interest)을 야기하지 않을까? 그가 힐러리에게 충고하고 싶은 마음을 누를수 있을까- 또는 저널리스트들을 오도하지 않을까? 클린턴 팀과 오바마 팀이 새벽 3시에 걸려오는 전화에 무엇을 할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strait jacket: 구속복 [미친 사람이나 난폭한 죄수 등에게 입혀 두 손을 구속하는 두꺼운 천으로 만든 자켓]
There are certainly reasons for caution. Mrs Clinton has surely not given up her ambition to become the second President Clinton. Mr Clinton has made millions for both himself and his foundation from the global lecture-and-advice circuit. The Clinton Foundation has a staff of 800 who deal with sensitive issues such as AIDS and poverty reduction. All sitting presidents are rightly leery of giving their predecessors a chance to interfere in foreign policy. The media beast will undoubtedly seize on any signs of discord between the two Democratic families.
분명히 조심해야 할 만한 이유들은 있다. 힐러리는 분명히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그녀의 야심을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빌 클린턴은 자신과 자신의 재단을 위해 글로벌 강의와 자문순회로 인해 수백만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다. 클린턴 재단은 800명의 스태프가 에이즈와 빈곤감소등의 민감한 이슈를 다루고 있다. 모든 현직 대통령들(sitting presidents)은 그들의 전임자들이 외교정책에 있어 간섭할 여지를 주는 것에 조심하고 있다. 미디어라는 야수는 틀림없이 두 민주당 패밀리들간의 불일치의 징후를 잡아낼 것이다.
But the case against the appointment is nevertheless exaggerated. Mr Obama and Mrs Clinton have remarkably few ideological differences: they are both pragmatists who believe in working through diplomacy if possible but in resorting unhesitatingly to force if necessary. Their squabbles during the primaries—over Mrs Clinton’s vote to authorise the Iraq war or Mr Obama’s willingness to hold “unconditional” talks with Iran—were mainly squabbles over details, not substance. There is nothing comparable here to the profoundly damaging philosophical differences in the first Bush administration between the doves, led by Colin Powell, and the hawks, led by Dick Cheney.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명에 반대하는 것은 과장된 면이 있다. 오바마와 힐러리의 이데올로기적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다. 그들은 모두 현실주의자로서 가능하다면, 외교를 통하여 일을 하고, 필요하다면, 주저하지 않고,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믿고 있다. 당내경선기간 동안의 다툼 -힐러리의 이라크전 동의나 오바마의 이란과의 무조건적인 대화를 하겠다는 등-은 주로 세부사항에 대한 것이지 실체에 대한 것은 아니었다. 1기 부시 행정부내에서의 콜린파월이 이끄는 온건파(the doves)와 딕 체니가 이끄는 강경파(the hawks) 사이에 있었던 심각한 철학적 차이에 비견할 만한 것은 없다.
Politicians do not need ideological differences to get into a fight, to be sure. Even in the best of times the State Department has a long history of fighting turf wars with other instruments of foreign-policy making, particularly the Pentagon,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the vice-president’s office and the Oval Office. Won’t the arrival of a prima donna at Foggy Bottom make these turf wars even worse than usual?
사실, 정치인들은 싸움을 하기 위해 이데올로기적 차이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가장 잘 나가던 때에도 국무부는 외교정책을 만드는 다른기구, 특히 펜타곤(국방부), 국가안보국, 부통령실, 그리고 백악관과 세력다툼을 하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국무부에 프리마 돈나(힐러리 클린턴)가 도착한다고 해서 이러한 세력다툼이 평소보다 더 악화되지는 않을것이다.
*Foggy Bottom: 1.미국 Washington D.C. 포토막 강변의 안개가 자주 끼는 저지대, 2 미국 국무성의 속칭
Not necessarily. Joe Biden, who has plenty to say about foreign policy, was reportedly one of Mrs Clinton’s leading backers for the job. Robert Gates, who seems to be staying on as defence secretary, has been arguing for years that America has invested too much in the Pentagon at the expense of the State Department. Mrs Clinton has a long-standing relationship with James Jones, the former general and NATO commander whom Mr Obama is said to have tapped as national security adviser (though whether the relationship will survive the traditional rivalry between that role and the secretary of state is another matter).
꼭 그렇게 될 필요는 없다. 조 비덴은, 외교정책에 대한 할말은 많은 사람인데, 보도에 따르면, 외교부분에 있어서는 힐러리의 주요 지지자중의 한 사람이었다. 로버트 게이츠는, 국방부 장관으로 유임될 것 같은데, 몇 년간 미국은 국무부를 희생하는 대가로 펜타곤에 너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던 사람이었다. 힐러리는 오바마가 국가안보 자문관으로 임명할 예정인, 전 장군이며 나토 사령관인 제임스 존스와는 오랜기간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비록 그 관계가 그 역할과 국무부장관의 자리 사이에 전통적 라이벌관계를 이겨낼 것인지는 또 다른 문제이기 하지만)
Star power, and more(스타파워, 그리고 그 이상)
Mrs Clinton will also bring an impressive list of qualities to Foggy Bottom. One is star power. The former first lady and erstwhile presidential candidate will have no trouble attracting attention wherever she goes. Another is knowledge. Mrs Clinton has a unique combination of experience of both America’s soft power and its hard power: as first lady she visited 80 countries, and as a member of the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she oversaw the American military machine. And Mrs Clinton will be as well placed as any secretary of state for a generation to make progress in the Middle East: she knows most of the main characters personally, she sees eye to eye with Mr Obama, she can draw on her husband’s legacy and she is nothing if not relentless. Defeat and humiliation only seem to make her stronger—the perfect qualification for dealing with the Middle East.
힐러리는 국무부에 인상적인 특징을 가져올 것이다. 하나는 스타파워이다. 전 영부인으로서, 그리고 이전의 대통령 경선후보자로서 어디로 가든지 주의를 끄는데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또 하나는 지식이다. 힐러리는 미국의 소프트 파워와 하드파워를 통합하는 독특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영부인으로서 80개국 이상을 방문했으며, 상원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미국의 군사체계를 감독하였다. 그리고 힐러리는 중동지역에 개선을 가져올 국무장관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그녀는 개인적으로 주요 인사들 대부분을 알고 있으며, 오바마와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그녀는 빌 클린턴의 업적을 가져갈 수 있으며, 그녀는 잔인하지 않다면 아무것도 아니다.(문맥상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네요). 패배와 굴욕은 그녀를 더욱 강하게 할 뿐이며, 이것은 중동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완벽한 자격요건이다.
*see eye to eye with: ~와 견해가 일치하다
The next president will face daunting foreign-policy tasks as well as a mother-in-law of a recession. America’s global brand has been tarnished. The battle with radical Islam has been turned into a partisan issue. The machinery of policymaking has been wrenched out of shape, particularly at the State Department. Sending a big beast like Mrs Clinton over to the State Department is undoubtedly risky. But sending a small beast to do such a big job might be riskier still.
차기 대통령(버락 오바마)은 경기후퇴라는 시어머니와 함께 버거운 외교정책 업무에 직면할 것이다. 미국의 글로벌 브랜드가 손상되어왔다. 과격 이슬람과의 전쟁은 당파적 이슈로 바뀌었다. 정책입안 기관은 심하게 뒤틀려, 엉망이 되었다, 특히 국무부가 그렇다. 국무부에 힐러리 같은 큰 야수를 보내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그러나 그러한 큰 일을 하는 자리에 작은 야수를 보내는 것은 더 위험한 일일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