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09.4.8 미국섹션번역] Lexington-Reflections on Virginia Tech
[09.4.8 미국섹션번역] Lexington-Reflections on Virginia Tech
Lexington
Reflections on Virginia Tech(버지니아공대에 대한 회고)
Apr 8th 2009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우리에게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는 무의미한 대학살)
A YOUNG man comes into Lucinda Roy’s office. She is the head of English at Virginia Tech, a university. He is a student whose bloodthirsty “creative writing” has set off alarm bells. He insists that his teacher is over-reacting. He is not really angry, he says. His poetry is satirical; it is supposed to make people laugh. His sunglasses and cap half-hide his face. He speaks “in the softest voice I have ever heard coming from a full-grown man,” says Ms Roy, “so soft in fact that I have to lean forward to hear him.”
한 젊은이가 루신다 로이(Lucinda Roy)의 사무실에 들어왔다. 그녀는 버지니아 공대의 영어과 학과장이다. 그는 잔인한 “창작글쓰기”가 경고벨을 울렸던 학생이다. 그는 선생님이 과민반응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제 분노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의 시는 풍자이며, 사람들을 웃길려고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의 선글래스와 모자는 그의 얼굴을 반쯤 가리고 있다. 그는 “내가 들어봤던 성인 목소리 중 가장 조용한 목소리로 말했다”고 로이는 말한다. “너무 조용해서 나는 그의 목소리를 듣기위해 몸을 앞으로 숙여야 했어요.”
That was in October 2005. Eighteen months later the young man shot and killed 32 people, mostly fellow students, without uttering a word. Then he killed himself. As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Virginia Tech massacre approaches, crazed gunmen are in the news again. A jobless man in New York state murdered 13 people on April 3rd. A jilted husband shot up a nursing home in North Carolina on March 29th. Why do such horrors happen? Some people are turning to Ms Roy’s new memoir to find out.
그것은 2005년도 10월의 일이었다. 18개월 후 그 젊은이는 한마디 말도 하지 않고 대부분의 동료 학생이었던 32명의 사람을 총으로 쏘아 죽였다. 그리고 자신도 자살했다. 버지니아 공대 총격사건 2주기가 다가오는 때에, 미친 총잡이들이 다시 뉴스에 보도되고 있다. 뉴욕주의 한 실직자는 4월 3일 13명을 살해했다. 버림받은 한 남편은 3월 29일 북 캐롤라이나의 한 요양원을 총격했다. 왜 그러한 공포스러운 일이 발생할까? 일부 사람들은 답을 찾기위해 로이의 새로운 회고록에 눈길을 돌린다.
“No Right To Remain Silent: The Tragedy at Virginia Tech”, published by Harmony, is a fine work. Ms Roy is a good writer and a good person. Her interactions with a future killer are oddly touching. She coached him with his dreadful writing and tried to soothe his irrational rage. Yet her attempt to make sense of his final explosion meets an insuperable obstacle. It is futile to draw conclusions from such an unusual event.
하모니사에서 출간된 “침묵할 권리는 없다: 버지니아 공대의 비극”은 훌륭한 작품이다. 로이는 좋은 작가이며 선한 사람이다. 그녀의 미래 살인자와의 상호작용은 이상하게도 감동적이다. 그녀는 그의 무서운 글쓰기를 코치했고 그의 비이성적인 분노를 완화하려 했다. 그러나 그의 마지막 폭발을 이해하려는 그녀의 시도는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을 만난다. 그러한 특별한 이벤트에서 결론을 끄집어내는 것은 부질없는 짓이다.
That is not how it seemed at the time. Every television screen vibrated with debate about the slaughter. But it changed no one’s mind about any broad principle of public policy. Pundits seized on it as gory evidence to support whatever they already believed. Advocates of gun control, such as The Economist, took the opportunity to reiterate their opposition to guns. Despite a history of mental illness, the killer had had no trouble buying two semi-automatic pistols and several kilos of ammunition. Had he been refused, innocent lives might have been spared. Not so, argued the pro-gun pundits: the real problem was that students were not allowed guns on campus to defend themselves.
그것은 그당시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 모든 TV 화면이 살인자에 대한 논쟁으로 진동했다. 그러나 그것은 공공정책의 광범위한 원칙에 대해 누구의 마음도 바꾸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그것을 그들이 이미 믿고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지지하려는 유혈의 증거로 이해했다. 이코노미스트 본지와 같은 총기제한의 지지자들은, 총기에 대한 그들의 반대를 되풀이하는 기회로 삼았다. 정신병 이력에도 불구하고, 살인자는 아무 어려움 없이 두개의 반자동 총기와 몇킬로의 탄환을 구매할 수 있었다. 만약 그가 거절당했더라면, 무고한 생명들이 목숨을 유지했을지도 모른다. 그렇지는 않다, 총기찬성 전문가들은, 실제 문제는 학내에서 학생들이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총기를 허락하지 않는데 있다고 말한다.
Ms Roy favours gun control. It irks her that Virginia still allows gun shows to sell guns without background checks to weed out buyers who are criminal or insane. But she admits that the gun nuts occasionally have a point. Armed students do sometimes subdue school shooters. Ms Roy lists examples. Whether more guns on campus would lead to fewer deaths, as some claim, or more, as others insist, is impossible to prove. There are too many confounding factors, and too few school shootings, thank heavens. In any case, the gun nuts’ thesis is unlikely to be tested. Few teachers would feel comfortable in a gun-filled classroom. How do you give an “F” grade to an armed adolescent?
로이는 총기제한을 선호한다. 그녀를 짜증나게 하는 것은 버지니아 주가 여전히 총기 쇼들이 범죄자나 정신병자인 구매자를 뿌리뽑을 수 있는 배경체크를 하지않고 총기를 판매하는 것은 허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총기휴대 찬성자들의 말도 때때로 일리가 있다고 인정한다. 무장한 학생들은 때때로 교내 총격자를 억제할 수 있다. 로이는 예를 나열한다.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캠퍼스내에 더 많은 총기가 더 적은 사망자로 연결될지, 또는 다른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더 많은 사망자로 연결될지 여부는, 증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너무나 많은 복합적인 요인이 있고, 너무 적은 교내 총격사건이 있다, 고맙게도. 어느 경우에도 총기휴대 찬성자의 명제가 시험될 것 같지는않다. 총기로 가득찬 교실에서 편안함을 느낄 교사는 거의 없다. 총기를 휴대한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F”학점을 주겠는가?
Another popular argument, after Virginia Tech, was that the media were partly to blame. The killer had watched coverage of a previous massacre, at Columbine High School in Colorado, and decided to copy it. He also wanted to be famous. He filmed himself posing with guns and spouting an incoherent manifesto of grievances. Between his first two murders and his last 30, he posted the footage to NBC, a television channel, hoping they would broadcast it. They obliged. He thus became an icon to other deranged loners. A young man with a large collection of guns was arrested in Nevada last year after he sent threatening e-mails to two women whom the Virginia Tech killer once harassed. His lawyer said he was just trying to start a discussion about school violence. He is about to go on trial.
또다른 인기있는 주장은, 버지니아 공대 총격사건후에, 언론이 부분적으로 비난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살인자는 콜로라도 주의 컬럼바인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이전의 대학살 취재를 시청했고, 그것을 모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또한 유명해지고 싶었다. 그는 총기를 가지고 포즈를 취하고, 조리가 맞지않는 불만 성명서를 막힘없이 말하는 자기모습을 촬영했다. 그가 첫번째 두명의 죽이고 마지막 30명을 죽이는 사이에, 그는 NBC, TV채널에 자신을 방영해주길 바라며, 자신의 필름을 송부했다. 방송사는 방송했다. 그리고 그는 다른 정신나간 독불장군들에게 아이콘이 되었다. 버지니아 공대의 살인자가 한때 쫓아다녔던 2명의 여자에게 협박하는 이메일을 보낸후, 한 다발의 총기를 가진 한 젊은이가 작년 네바다 주에서 체포되었다. 그의 변호사는 그는 단지 학교폭력에 대한 토의를 재개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곧 재판을 받게 될 것이다.
Ms Roy agrees that some of the reporters covering Virginia Tech were insensitive. (Lexington was there. It was bedlam.) And making killers famous surely encourages copycats. But Ms Roy cautions against a rush to judgment. The media allowed people at Virginia Tech to find out what was going on in real time—no small service. And investigative reporting, she argues, helps to hold institutions accountable. She thinks the university’s leaders should have been more open about their failure to provide the killer with adequate counselling, among other things. Given the risk of lawsuits, it is hardly surprising that they clammed up.
로이는 버지니아 공대를 취재한 기자들 중 일부는 둔감했다는데 동의한다. (렉싱턴 컬럼니스트도 거기에 있었다. 그곳은 혼돈이었다.) 그리고 살인자를 유명하게 만드는 것은 분명 모방범죄자를 부추긴다. 그러나 로이는 성급하게 판단하는것에 대해 조심스럽다. 언론은 버지니아 공대에 있는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내도록 하는 작지않은 서비스를 했다. 그리고 추적보도는 기관이 책임을 지게하는데 도움이된다고 그녀는 주장한다. 대학의 지도자들은 다른 여러가지 중에서 살인자에게 충분한 상담을 제공하지 못한 실패에 대해 좀 더 개방적이어야 한다고 그녀는 생각한다. 소송의 위험을 감안할 때, 그들이 입을 다무는 것은 놀랄 일은 아니다.
The massacre produced at least one hero: Liviu Librescu, a 76-year-old Holocaust survivor who sacrificed his life to save his pupils by barring a door with his body while they escaped through a window. The media eulogised him, but obviously could not interview him. They could talk to Ms Roy, however. And since she had sounded an early warning about the killer, urging him to get counselling and sharing her fears about his mental state with the university, reporters beat a path to her door.
대량학살은 적어도 하나의 영웅을 만들어냈다. 리비우 리브레스쿠는, 76세로 유태인 대학살의 생존자로, 학생들이 창문으로 빠져나가려는 동안에 자신을 몸으로 문을 막으면서 학생들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목숨을 희생했다. 언론은 그를 추모했지만, 분명 그를 인터뷰할 수는 없었다. 그들은 그러나 로이와 이야기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녀가 살인자에 대해 초기 경고를 하고, 살인자에게 정신과상담을 받아보라고 하고 대학에 그 학생의 정신상태에 대해 그녀의 두려움을 공유한 이래로, 기자들은 그녀의 방문을 뻔질나게 드나들었다.
What to do? (무엇을 할까)
With hindsight, it is easy to blame the university for not taking her concerns more seriously. But what, exactly, should it have done? The warning signs were hardly conclusive. Until the last two-and-a-half hours of his life, the killer committed no crimes. He stalked some female students, but they did not press charges. When Ms Roy first heard about the massacre, she did not guess that the killer was her former pupil. He was not the only creepy young man on campus. Ms Roy describes another student who scared people by, for example, anonymously posting a poem celebrating the rape of a disabled woman to a teacher’s door. As far as Ms Roy knows, this student never hurt anyone. “The assumption that it is easy to identify potential threats is faulty; almost all the students who write about homicide have absolutely no intention of killing anyone,” she says.
현재 입장에서, 그녀의 우려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대학을 비난하는 것은 쉽다. 그러나 정확하게 무엇을 해야만 했을까? 경고 사인은 결코 결론이 되지 않는다. 그의 생애 마지막 2시간 30분이 될때까지, 살인자는 아무런 범죄도 저지르지 않았다. 그는 몇몇 여학생을 심하게 따라다녔지만, 그녀들은 고소하지 않았다. 로이가 처음 대학살에 대해 들었을 때, 그녀는 살인자가 그녀의 이전 학생이었다고 추측하지 않았다. 그는 캠퍼스에 있는 유일한 겁주는 젊은이도 아니었다. 로이는 다른 학생들을 겁주던 다른 학생을 묘사했는데, 그 학생은 예를들어, 장애인 여자를 강간하는 것을 축하하는 시를 무기명으로 교사 방문에 붙여놓는 식이었다. 로이가 아는 한, 이 학생은 결코 다른 사람을 해하지 않는다. “잠재적인 위협을 식별하기 쉽다는 생각은 오류가 있다. 살인에 대해서 글을 쓰는 거의 모든 학생은 절대로 누구가를 살해할 의도가 전혀없다”고 그녀는 말한다.
Virginia Tech now has better locks on classroom doors and a brightly-lit ticker telling staff and students what to do in an emergency. But there is no reliable way to prepare for the unpredictable. And that, alas, is the only lesson to be drawn from April 16th 2007.
버지니아 공대는 지금 교실문에 더 나은 자물쇠와 비상시에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무엇을 해야할지를 이야기하는 환하게 켜지는 티커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예측할 수 없는 일에 대비할 믿을 만한 방법은 없다. 그리고 슬프지만, 그것이 2007년 4월 16일의 사건에서 끄집어 낼 수 있는 유일한 교훈이다.
<Words and Expressions>
*Virginia Tech Real time Webcam: http://www.vtnews.vt.edu/webcam_mainegg.php
*Book: “No Right to Remain Silent”: http://www.amazon.com/No-Right-Remain-Silent-Virginia/dp/0307409635/ref=sr_1_1?ie=UTF8&s=books&qid=1239348114&sr=1-1
*조승희 사전징후 있었다, 주장 제기: 매경 기사(2009.4.8):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8&cm=%EA%B5%AD%EC%A0%9C%20%EC%A3%BC%EC%9A%94%EA%B8%B0%EC%82%AC&year=2009&no=215126&selFlag=&relatedcode=&wonNo=&sID=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