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번역

[스크랩] Print Edition (2009.5.28) Lexington-Tough enough?

bitkhan 2009. 6. 26. 19:27

Print Edition (2009.5.28) Lexington-Tough enough?

 

Lexington

Tough enough?(충분히 강경한가?)

May 28th 2009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Barack Obama must pass the telephone test
(
버락 오바마는 전화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한다)

 

 


FIFTEEN months ago, at the height of the battle for the Democratic nomination, Hillary Clinton unleashed her most powerful weapon, a telephone call. “It’s 3am and your children are safe and asleep,” a voice intoned. “But there’s a phone in the White House and it’s ringing. Something is happening in the world.” Barack Obama might be able to give a pretty speech. But was he “tested and ready to lead in a dangerous world”?

 

15개월 전에, 민주당 경선이 한창일 , 힐러리 클린턴은 그녀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전화벨 소리를 공표했다.”새벽 3, 아이들은 안전하게 잠들어 있다”,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 그러나 백악관에 있는 전화기가 울리고 있다. 세계에서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다.” 버락 오바마는 훌륭한 연설을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가 위험한 세상을 지도해나가는 시험을 받았거나 준비가 되어있었는가?”

 

The telephone has been ringing off the hook of late, as hostile governments tweak the new administration, to see what it is made of, and Republican politicians raise doubts about Mr Obama’s national-defence credentials. On Memorial Day North Korea tested a nuclear bomb, following up with a few ballistic missiles for good measure. (The North Koreans were kind enough to give the administration a heads-up, in case the Mr Magoos of the intelligence establishment missed the fireworks.) On May 21st Dick Cheney delivered a televised speech accusing the administration of unravelling “some of the very policies that have kept our people safe since 9/11”. The day before that, the Iranians tested long-range missiles.

 

최근 전화기에서 전화벨이 울리고 있었다, 적대 정부가 미국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새로운 행정부를 꼬집었다. 그리고 공화당 정치인들은 오바마의 국가 방위 신임장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했다. 전몰장병 추도 기념일(Memorial Day) 북한은 핵무기를 실험했고, 이어 미사일을 발사했다. (북한은 정보국의 Mr Magoos 불꽃놀이를 놓쳤을 경우에, 친절하게도 미행정부에 head-up 주었다). 5 21, 체니(Dick Cheney) 행정부에 “9/11이후 우리 국민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있는 바로 정책중의 일부를 해명하라고 비난하는 TV연설을 하였다. 전날, 이란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

 

All this has put Mrs Clinton’s question from last February back at the heart of American politics. Conservative websites are buzzing with comparisons between Mr Obama and Jimmy Carter. “Jimmy Carter took a little over three years to create the image of the US as a confused and soft power,” argues Bahukutumbi Raman on Forbes.com. “Obama is bidding fair to create that image even in his first year in office.” Some Democrats are also whispering that they are worried about the comparison. Mr Carter’s weakness on foreign policy locked the Democratic Party out of the White House for over a decade. Mr Obama needs to prove that he is capable of doing the “daddy things” (defending the country) as well as the “mommy things” (appointing empathetic Supreme Court justices).

 

모든 것이 지난 2 힐러리의 질문을 미국정치의 한가운데에 올려놓았다. 보수주의 웹사이트는 오바마와 지미 카터를 비교하는 걸로 떠들석하다. “지미 카터는 3 조금 넘는 기간을 통해 미국의 이미지를 혼란스럽고 유약한 나라로 만들었다,” 포브스 닷컴의 바후쿠툼비 라만(Bahukutumbi Raman) 말했다. “오바마는 집무실에서의 일년안에 이미지를 창조하고자 상당히 노력하고 있다.” 일부 민주당원들은 또한 그들이 비교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것을 속삭이고 있다. 외교정책에 대한 카터의 나약함이 민주당을 거의 10 동안 백악관에 입성하지 못하게 하였다. 오바마는 자신이 엄마역할”(공감할수 있는 대법원 판사 임명하기) 마찬가지로 아빠역할”(나라를 지키는 )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How much truth is there that Mr Obama is flunking the telephone test? The problem with North Korea is that it is not a fair test of anything. It is easy to mock the finger-wagging from Susan Rice, Mr Obama’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about violations of international law, as the perfect example of pusillanimous liberalism.

 

오바마가 전화 테스트를 낙제하고 있다는 것은 얼마만큼 진실일까? 북한과의 문제는 그것이 전혀 공정한 테스트가 아니라는 것이다. 오바마의 UN 대사인 수잔 라이스가 국제법 위반에 대해 손가락을 흔든 것을 소심한 자유주의의 완벽한 예라고 조롱하기는 쉽다.

 

But where would “toughness” get America? It would be hard to make the Hermit Kingdom any more isolated than it already is. Cutting off American aid would produce mass starvation without depriving the ruling elite of its luxuries. It might also risk destabilising a country that has many thousands of artillery pieces and rockets aimed at Seoul. George Bush tried toughness, including branding North Korea a member of the “axis of evil”, before returning to softer policies.

 

그러나 강경책(toughness)”으로 미국이 얻을 것은 무엇인가? 은둔의 왕국(북한) 이미 있는 것보다 고립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미국 구호를 중단하는 것은 부유한 지배계층 엘리트를 몰아내지도 못하면서 대규모 기아를 유발할 것이다. 또한 그것은 수천개의 대포와 로케트가 서울을 겨냥하고 있는 나라를 불안정하게 하는 위험을 안고 있다. 조지 부시는 북한을 악의축 일원으로 낙인찍는 것을 포함하여 강경책을 시도했으나 결국 유화정책으로 돌아섰다.

 

Mr Cheney’s critique of Mr Obama’s naiveté is a much fairer test than Kim Jong Il’s fireworks. But in fact Mr Obama passes the Cheney test fairly well, providing a well-calibrated combination of toughness and strategic innovation. He may have made a lot of noise about talking to America’s enemies. He may have abandoned Bush-era phrases such as “the war on terror”. But he has done little to unwind that war.

 

오바마의 순박함에 대한 체니의 비판은 김정일의 불꽃놀이보다 훨씬 공정한 테스트이다. 그러나 사실 오바마는 강경함과 전략적 혁신을 조정하여 혼합 제공함으로써, 체니의 테스트를 아주 통과했다. 그는 미국의 적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아주 많은 잡음을 만들었는지 모른다. 그는 부시 시대의 테러와의 전쟁 같은 수식어를 버렸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전쟁을 되감아 버리는 일을 전혀 하지 않았다.

 

He has embraced Mr Bush’s policy of gradually withdrawing combat troops from Iraq. H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troops in Afghanistan by around 20,000. He has also stepped up drone attacks on what the American army calls the “Af-Pak” region. Far from abandoning the war on terror, Mr Obama is shifting its central front from Iraq to Afghanistan, and doing what he can to sell it better. That hardly counts as naive doveishness.

 

그는 이라크에서 점진적으로 전투부대를 철수하는 부시의 정책을 포용하였다. 그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군대 인원을 2만명으로 늘렸다. 그는 또한 미군이 “Af-Pak” 지역이라 부르는 곳에 대한 무선조종 무인기 공격을 강화했다. 테러와의 전쟁을 포기하는 것에서 멀리 떨어져, 오바마는 중심전선을 이라크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그가 가장 있는 것을 하고 있다. 그것은 거의 순진한 화평파로 볼수 없는 것이다.

 

Mr Cheney concentrated his heaviest rhetorical fire on Mr Obama’s opposition to “enhanced interrogation”. But such opposition is hardly a sign of wimpishness. Large numbers of military and former military officers, including David Petraeus, the head of Central Command, and John McCain, a man who was brutally tortured by the North Vietnamese, have come out strongly against practices such as waterboarding, for both practical and moral reasons. The information that such techniques produce is often tainted, and the damage that they do to America’s image around the world is immense.

 

체니는 자신의 가장 무거운 수사적 불길을 가혹신문(enhanced interrogation)” 반대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반대는 전혀 겁쟁이의 징표가 아니다. 다수의 전직 장교들은, 중앙사령부의 수장인 데이비드 페트라우스(David Petraeus) 베트콩에 의해 잔인하게 고문을 당했던 매케인을 포함하여, 물고문과 같은 행위를 실제적이며 도덕적인 이유로 강력하게 반대해왔다. 그러한 기술이 제공하는 정보는 흔히 문제가 해독을 주고, 그들이 세계적으로 미국의 이미지에 주는 손해는 막심하다.

 

Living with Mr Kim(김정일과 같이 살아가기)

 

Still, it would be wrong to imply that Mr Obama has passed the telephone test with flying colours. The president is paying the price for raising expectations about the power of diplomacy to absurd heights. So far Mr Obama’s charm offensive has produced plenty of warm words but few practical concessions. The Europeans have refused to stimulate their economies as much as America would like, or to send a significant number of troops to Afghanistan. Iran has become even noisier about its desire to go on enriching uranium. Mr Obama is now finding out, as the Bush administration did before him, that some regimes are not susceptible to American policies, hard or soft, wise or dumb.

 

여전히, 오바마가 성공적으로 전화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암시하는 것을 잘못된 일일것이다. 대통령은 외교의 힘을 비상식적인 높이까지 기대치를 올려놓은 대가를 치루고 있다. 지금까지 오바마의 매력(charm offensive) 수많은 따뜻한 말들을 만들어냈지만 실제적인 양보는 거의 없다. 유럽인들은 미국이 원하는 만큼 자신들의 경제를 부양하기를 거부하거나, 또는 아프가니스탄에 주목할만한 숫자의 군대를 파견하지도 않았다. 이란은 우라늄농축을 지속하려는 욕망에 대해 더욱 소란스러워졌다. 오바마는 이제, 부시 행정부가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일부 정권은 미국의 정책이 강경 또는 온화하거나, 현명 또는 멍청하거나 상관없이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가고 있다.

 

*flying colours: 휘날리는 깃발, 승리, 성공

 

Mr Obama is also guilty of doing too little to prepare for life with North Korea. The administration has paid remarkably little attention to the country. Mr Obama’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n policy has retained his job as a university administrator. The top East Asia specialist at the State Department has still not been confirmed, though that has more to do with the Senate’s sloth than with Mr Obama’s negligence.

 

오바마는 북한과의 삶을 준비하는데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은데 책임이 있다.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에 두두러질 정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 오바마의 대북정책 특사는 대학 행정가로서의 직업을 보유하고 있다. 국무부의 수석 동아시아 전문가는, 오바마의 태만이라기 보다는 상원의 게으름때문에, 아직 인준을 받지 못하고 있다.

 

The administration has pulled off a short-term coup by shifting public attention from North Korea to the Supreme Court, at least for a while. But Mr Kim and his kind will not disappear. Mr Obama needs to fill the gaps in his administration as quickly as possible. He also needs to lower expectations about what can be achieved by replacing one American president with another. The 3am call is still the one that can make or break a presidency.

 

오바마 행정부는 적어도 한동안은, 대중의 관심을 북한에서 대법원으로 돌리는데, 단기적 성공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김정일과 그와 같은 무리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오바마는 행정부내에서 되도록이면 빨리 간극을 메꿀 필요가 있다. 그는 또한 미국의 대통령이 교체됨으로서 무엇을 이룰 있는지에 대해 기대감을 낮출 필요가 있다. 새벽 3 전화는 여전히 대통령직을 좌지우지할 있는 사안이다.

 

*coup: [장사, 사업에서의] 대성공, 히트, 쿠데타

*pull off: 성공하다,달성하다

*make or break: 성패의 양단간의 결과가 극단적인

출처 : 에피파니-영어독서클럽
글쓴이 : Khan(김동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