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번역

[스크랩] Print Edition (2009.7.2) Lexington-Two cheers for America

bitkhan 2009. 8. 3. 09:48

Print Edition (2009.7.2) Lexington-Two cheers for America

 

Lexington

Two cheers for America(미국을 위한 2가지 격려)

Jul 2nd 2009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The current Lexington bids farewell to America after 13 years
(
현 렉싱턴은 지난 13년간의 미국에 이별을 고한다)

Illustration by David Simonds



ALEXIS DE TOCQUEVILLE was so enthralled by the nine months he spent in the United States in 1831 that he wrote two fat volumes about the country. He admired the vigour of its democratic institutions and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its people, which was rapidly transforming a vast wilderness into a polished civilisation. And he approved of the way that the country’s potential vices were moderated by its commonplace virtues, particularly its civic pride and religious observance. The proud French aristocrat was happy to call himself “half Yankee”.

 

알렉시스 토크빌은 1831 그가 미국에서 보낸 9달에 너무나 매혹되어 미국에 대한 두꺼운 2권을 저술했다. 그는 미국의 민주적 단체들의 활력과 미국사람들의 기업가적 정신을 찬양하였는데, 그것은 광대한 야생을 세련된 문명으로 급속도로 변화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미국의 잠재된 악덕은 미국이 가진, 특히 미국의 시민적 자부심과 종교적 엄수라는 공통된 덕목으로 인해 완화될 것이라는 점을 인정했다. 자부심이 강한 프랑스의 귀족들은 자신들은 반쪽 양키라고 부르길 좋아했다.

 

But in the 1840s and 1850s de Tocqueville’s views on America took a darker turn, as a new collection of his writings makes clear. (“Tocqueville on America After 1840: Letters and Other Writings”). Public life was dominated by people who lacked “moderation, sometimes probity, above all education”. America’s sense of “exaggerated pride in its strength” was promoting military adventurism. “Primitivism” stalked the land. “What is certain is that, for some years, you have strangely abused the advantages given to you by God,” he chided.

 

그러나 1840년대와 1850년대에 그의 저술 (“1840 이후의 토크빌이 보는 미국: 편지와 다른 글들”) 새로운 취합됨에 따라 미국에 대한 토크빌의 관점은 약간 어둡게 변해갔다. 공적 삶은 모든 교육중에서도, 중용을 결여한, 때때로 정직까지 결여한 사람들에 지배되었다. “힘에 대한 과장된 자부심 대한 미국의 감각은 군사적 모험주의를 촉진하고 있었다. “원시주의 전국에 유행했다. “ 분명한 것은, 년동안, 신이 당신에게 부여한 이점을 이상하게 낭비해왔다는 것이다.”라고 그는 꾸짖었다.

 

It is presumptuous to mention oneself alongside the author of the greatest book written about America. But during the 13 years that the author of this column has spent in the United States, he too has found his initial exuberance clouded by darker thoughts. When he arrived in 1996, America was lord of all it surveyed, the world’s only remaining superpower, convinced of its supreme benevolence, and the engine of a productivity miracle that left Europeans in awe. Social pathologies such as violent crime were being brought under control; almost half of households owned shares. The place had an air of what Mark Twain once called “the serene confidence which a Christian feels in four aces”.

 

자신을 미국에 대해 위대한 책을 사람과 같은 반열에 언급한다는 것은 주제넘는 일이다. 하지만 컬럼의 저자가 미국에서 13년을 보내는 동안, 컬럼니스트 또한 초기의 충만함이 우울한 생각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발견했다. 컬럼니스트가 1996 미국에 도착하였을 , 미국은 조사된 모든 것의 제왕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강대국으로 최고의 선행을 확신하며, 유럽을 경외하게 만든 생산성의 기적을 만든 동력이었다. 폭력범죄와 같은 사회병리들은 통제되었으며; 거의 절반이상의 세대가 주식을 가지고 이었다. 이땅은 마크 트웨인이 한때 크리스챤이 4개의 에이스에서 느꼈던 평온한 자신감으로 충만해 있었다.

Today, this serene confidence has long gone. Americans are more pessimistic than the Indians or Chinese, worried that their children will not enjoy the opportunities that they have taken for granted. Xenophobia is on the rise, as is nostalgia for a time of stable families and solid values. California, the state that has always reached the future first, is preparing to pay its bills with IOUs.

 

오늘날, 평온한 자신감은 오래전에 사라졌다. 미국인들은 인도나 중국사람들보다 비관적이며, 미국의 자녀들이 자신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기회들을 즐길수 없을 것이라며 걱정했다. 외국인혐오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시 안정적인 가정과 견고한 가치를 가졌던 시절에 대한 향수도 증가하고 있다. 항상 미래에 일착으로 도착했던 캘리포니아는 차용증서를 발행해서 자신들의 비용을 지불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America has had an inauspicious start to the 21st century, to put it mildly. The Iraq war revealed the fragility of the “unipolar moment”. America sullied not just its moral authority, thanks to Abu Ghraib and “enhanced interrogation”, but also its reputation for competence, thanks to faulty intelligence about WMD and a botched occupation. The economic crisis has revealed the fragility of its financial system. Great investment banks have crumbled to dust. Financial wizards have been exposed as frauds or fools. A country that once lectured the world on the “Washington consensus” of deregulation and privatisation is busy re-regulating Wall Street and nationalising Detroit.

 

미국은 부드럽게 말하자면, 21세기를 행한 불운한 시작을 하였다. 이라크 전쟁은 단극체제의 순간 덧없음을 나타냈다. 미국은 아부 그랍과 가혹심문덕분에 자신의 도덕적 권위뿐만 아니라, 대량살상무기(WMD) 대한 잘못한 정보와 망쳐버린 점령덕분에 역량에 대한 자신의 명성마저도 훼손하였다. 재정 마법사들은 사기꾼이나 바보로 폭로되었다. 한때 전세계에 탈규제와 사유화라는  워싱턴 컨센서스 강의했던 나라가 월스트리트를 재규제하고 디트로이트를 국유화하는데 분주해있다.

 

America has got ever deeper into debt, unable to kick the habit of living beyond its means. The cost of entitlements has been rising vertiginously, and will do so even faster as the baby-boomers retire. The federal deficit is likely to average a trillion dollars a year over the next decade. Sober projections suggest that by 2027, if federal revenues remain at around 18% of GDP—the level people are accustomed to—they will not even cover the cost of government-run health programmes, Social Security and debt interest. Everything else will require more borrowing. Foreigners, who currently hold around half of US Treasury debt, up from 18% in 1990, will not finance Uncle Sam’s self-indulgence for ever.

 

미국은 깊은 부채에 빠져들고 있으며, 자신의 수입보다 많이 쓰는 습관을 차버릴수도 없다. 보험비용은 현기증이 날정도로 올라가고 있으며, 베이비 부머가 은퇴할때에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연방적자는 다음 10년에 걸쳐 평균 1조달러가 될것이다. 사실을 왜곡하지 않는 전망에 따르면, 2027년까지, 만약 연방예산이 GDP 18% 머문다면, 연방예산은 국영건강프로그램들, 사회보장, 그리고 부채이자의 비용도 충당하지 못할 것이다. 이외의 모든것들이 많은 차입을 요구하고 있다. 1990 18%에서 현재 미국 국무부 채권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외국인은, 미국의 방종을 영원히 지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But we should guard against substituting irrational pessimism for irrational exuberance. Yes, America will face competition from developing countries and from an enlarging and deepening European Union. But it brings great resources to the fight. China’s authoritarian regime is brittle. About 40% of India’s people are illiterate, and its pool of trained talent is limited. America will be spared the demographic disasters awaiting Europe and China, thanks to its high birth rate and genius for absorbing newcomers.

 

그러나 우리는 비합리적인 충만 대신에 비합리적인 비관주의로부터 우리를 지켜야한다. 그렇다, 미국은 개발도상국과 확대되고 깊어지는 유럽연합으로부터의 경쟁에 직면하게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싸움에 위대한 자원을 가져오고 있다. 중국의 권위주의적인 정부는 부서지기 쉽다. 인도의 40% 문맹이며, 교육받은 인재들은 한계가 있다. 미국은 높은 출산률과 신입자를 흡수하는 천재성 때문에 유럽이나 중국을 기다리는 인구적 재난들에서 구원받을 것이다.

*substitute A for B: B대신에 A 쓰다

 

A genius for self-correction (자기수정의 천재)

 

De Tocqueville, in his optimistic phase, said that “the greatness of America lies not in being more enlightened than any other nation, but rather in her ability to repair her faults.” America has succeeded brilliantly in repairing the ancestral fault of racism. Thirty-six years after Richard Nixon casually remarked that “there are times when an abortion is necessary…when you have a black and a white,” America elected the child of a black father and a white mother to the presidency. The new administration is trying to correct some of the excesses of the Bush years, much as Ronald Reagan corrected the excesses of the Carter years. Barack Obama wants to tackle health-care costs and rebuild the economy on the rock of solid education and a sound infrastructure rather than the sands of financial speculation.

 

토크빌은, 그의 낙관적 문구에서, “미국의 위대한 점은 개화되었다는데 있다기보다는 자신의 잘못을 고칠수 있는 능력에 있다 말했다. 미국은 인종주의에 대한 선조의 잘못을 고치는데 눈부시게 성공했다. 리차드 닉슨이후 36년간은 태연하게 이런말을 했다. “낙태가 필요한 때도 있다당신이 흑인과 백인을 가졌을 때는”. 미국은 흑인아버지와 백인어머니를 아이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새로운 정부는 부시시대의 지나친행위중 일부를 수정하려 하고 있다. 마치 로날드 레이건이 카터시대의 지나친행위를 고친것처럼. 버락 오바마는 건강보험 비용을 잡고 경제를, 재무투기의 모래가 아닌 철저한 교육과 건전한 하부구조라는 반석에 세우고 싶어한다.

 

Whether Mr Obama can deliver on his promises is open to doubt: his inspiring rhetoric is marred by a willingness to compromise with his party’s free-spending establishment in Congress. But there is fortunately a more solid reason for optimism. That is the country’s taste for entrepreneurial capitalism, a taste that arrived with the first settlers and is becoming an ever greater resource, as the global economy is shaken by wave upon wave of disruptive technologies. America still has a genius for incubating entrepreneurs and giving those entrepreneurs the wherewithal to turn bright ideas into global behemoths. America’s biggest company, Wal-Mart, was founded only in 1962; its sexiest, Google, was conceived in a Californian dorm room at about the time that your columnist arrived on these shores. Even as de Tocqueville despaired about the future of his half-adopted country in the 1840s and 1850s, the likes of Carnegie and Rockefeller were about to unleash the greatest productivity miracle the world has seen. That is the America that still promises much.

 

오바마가 그의 약속을 이행할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의 폭발적인 수사학은 의회에서 민주당의 자유지출 기득권층과 협상하려고 하는 자발적 의지에 의해 손상되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낙관을 위한 견고한 이유가 있다. 그것은 기업가적 자본주의를 향한 나라의 취향이며, 정착민들과 함께 도착한 취향이며, 점점 자원이 되가고 있다. 글로벌경제가 파괴적인 기술의 물결에 의해 흔들리게 됨에 따라. 미국은 여전히 기업가들을 배양시키는 천재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가들이 뛰어난 아이디어를 세계적 거물로 바꾸는 수단을 이들 기업가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대기업, 월마트는 1962년에 창업하였으며, 가장 멋진 구글은 컬럼니스트가 이들 해변가에 도착할때에 캘리포니아의 기숙사방에서 잉태되었다. 심지어 토크빌이 1840년대와 1850년대에 그의 반쪽 입양된 나라에 대해 실망하였지만, 카네기와 록펠러 같은 무리들은 세계가 목도한 가장 위대한 생산성 기적을 풀어놓았다. 그것이 여전히 많은 것을 약속하는 미국이다.

출처 : 에피파니-영어독서클럽
글쓴이 : Khan(김동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