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즈의 마법사와 미국의 화폐정책

bitkhan 2009. 4. 3. 13:21

Date: 2009.4.3() 오즈의 마법사와 미국의 화폐정책

 

 

 

Wonderful Wizard of Oz/ L. Frank Baum

 

어렸을 적 오즈의 마법사를 읽었을 것이다. 책과 영화에서 하는 이야기는 도로시라는 여자아이가 집에서 멀리 떨어진 어떤 곳에서 자신이 길을 잃을 것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당신은 잘 모르겠지만, 사실 이 이야기는 19세기 후반 미국의 화폐정책에 관한 우화이다.

 

1880년에서 1896년까지, 미국경제의 물가수준(price level) 23%까지 떨어졌다. 이런 일을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것은 부의 재분배로 이어졌다. 서부지역의 대부분의 농부들은 채무자였다. 채권자는 동부의 은행들이었다. 물가수준이 떨어지면, 이들 부채의 실제가치는 올라가게 되고, 농부의 빚으로 은행들은 부유하게 된다.

 

당시의 대중 정치인에 따르면, 농부문제의 해결책은 은을 자유롭게 주조하는 것이다. 이 시기 동안에 미국은 금 본위제를 운영하고 있었다. 금의 양이 화폐의 공급을 결정하게 되고, 그 결과 물가를 결정한다. 은본위제 주창자들은 금과 마찬가지로 은을 화폐로 이용하기를 원했다. 만약 채택된다면, 화폐의 공급량을 늘려, 물가수준을 밀어올려, 농부들이 가지고 있는 부채의 실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은을 둘러싼 논쟁은 뜨거웠다. 그리고 그 중심엔 1890년대의 정치가 있었다. 대중정치가들의 가장 흔한 선거 슬로건은 우리는 저당잡혔어요. 우리의 투표권을 말이죠은 주창자중의 한명은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으로, 1896년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였다. 그는 한편으로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한 그의 연설로 기억된다. “ 당신들은 가시관으로 노동자의 눈썹을 내리눌려서는 안된다. 당신들은 금의 힘으로 인류를 십자가에 매달아서는 안된다.” 그 이후로 화폐정책에 대한 대안접근에 대해 이처럼 시적으로 말한 정치인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라이언은 선거에서 공화당의 윌리엄 맥킨리에게 패배했고, 미국은 여전히 금본위제를 유지하였다.

 

오즈의 마법사의 저자, L 프랭크 바움은 중서부의 저널리스트였다. 그가 아이들을 위한 책을 쓰쓰려 앉았을 때, 그는 각 캐릭터들이 당시의 주요 정치싸움의 주인공들을 표현하기로 하였다.

 

비록 현대 비평가들은 각 캐릭터에 대한 해석이 약간씩 다르지만, 이 이야기가 화폐정책에 대한 토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1990년 정치경제 저널에 글을 쓴 경제역사학자 휴 로코프는 이야기를 이렇게 해석한다.

 

Dorothy: Traditional American values 도로시: 전통적인 미국의 가치

Toto: Prohibitionist party, also called the Teetotalers 토토: 금주주의자

Scarecrow: Farmers 허수아비: 농부

Tin Woodsman: Industrial workers 양철 나무꾼: 산업 노동자

Cowardly Lion: William Jennings Bryan: 겁쟁이 사자: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Munchkins: Citizens of the East 먼치킨: 동부지역의 시민

Wicked Witch of the East: Grover Cleverland 동쪽의 나쁜마녀: 그로버 클리브랜드

Wicked Witch of the West: William McKinley 서쪽의 나쁜마녀: 윌리엄 맥킨리

Wizard: Marcus Alonzo Hanna, chairman of the Republican party 마법사: 공화당 의장, 마커스 알론조 한나

Oz: Abbreviation for ounce of gold 오즈: 1온스의 약어

Yellow Brick Road: Gold standard 노란 벽돌길: 금 본위제

 

이야기 마지막에, 도로시는 집으로 가는 길을 발견하는데, 이는 노란벽돌길을 따라가지 않는다. 오랜 위험한 여행끝에, 도로시는 마법사가 그녀와 그녀의 친구들을 도와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대신에, 도로시는 마침내 은 슬리퍼의 마법과 같은 힘을 발견하게 된다.

 

여기서 노란 벽돌길은 금본위제를, 은 슬리퍼는 은을 화폐정책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은을 통해 미국은 전통적인 미국적 가치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pp. 683-684, Principles of Economics by Mankiw, 맨큐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