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후기

몰입-최적의 경험에 대한 심리학(2)

bitkhan 2008. 1. 22. 00:53
 

제목처럼 하나의 의식의 흐름에서 책을 읽는 다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의 삶은 너무나 많이 책읽기를 방해한다. 언제나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그만큼 세상에 의해 방해받을 기회도 많다는 것이다. 책을 읽을 때만이라도 문명과 떨어진 섬에 있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

 

4 The Conditions of Flow(몰입의 조건)

몰입활동/몰입과 문화/자기목적적 성격/몰입하는 사람들

 

몰입활동의 특징: 몰입은 즐거울까?

그것이 조직화된 행동이기 때문에, 즐거움을 주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모든 문명에는 예술(음악, 미술 ) 있다. 그리고 종교의식도 하나의 놀이였다.

 

삶이 따분하고 불안할 때는, 그것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몰입이 필요하다.

몰입은 높은 기술(skills), 도전(challenge) 요구한다. 처음 시작하는 일에 우리는 몰두한다. 새롭다는 자체가 도전이고, 새로 시작하는 분야에는 아무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살면서, 너무 익숙해서 삶이 도전이 없어서, 새로운 것이 없어서, 따분하다면,그때가 바로 몰입의 필요한 때이다. 익숙해지면 다시 떠나라. 도전을 찾아, 기술을 익히기 위해, 그러면 차원 높은 몰입의 기쁨을 누릴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에 변화가 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같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이런 경향은 심해지는 듯하다. 그리고 변화 없는 삶은 곧잘 무력하다고도 한다. 정말 그럴까? 우리가 어떤 경지에 오르는 것은 어느 분야에 오랫동안 집중한 결과 나오는 부산물이 아닌지? 아무리 단순한 행위라도 몰입할 있다면 발전하고 행복을 느낄 있다는 것이 책에서 말하는 내용인데…. 쉽게 얻는 것은 없다. 몰입하기 위해서도 기술이 필요하다. 어떤?

 

P71

Flow will result either from a structured activity, or from an individual's ability to make flow occur, or both.(몰입은 구조화된 활동이나, 몰입하는 개인의 능력, 또는 두가지 모두에서 비롯된다)

 

P72

They have rules that require the learning of skills, they set up goals, they provide feedback, they make control possible.

최적의 경험을 주는 활동에는 규칙이 있는데, 기술을 습득해야 하고, 목표를 세우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통제가 가능해야 한다.

이것이 flow 중요한 4가지 요소라고 있다. 기술/목표/피드백/통제-이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flow상태로 들어가는데 어려움이 있다.

 

Roger Caillois, the French psychological anthropologist 세상에 있는 모든 게임을 4가지 분류로 나누었다. 경쟁, 우연, 의식전환, 현실치환, competition, chance, alter consciousness, alternated realities

 

책은 많은 사람들과의 인터뷰와 일화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은 북베트남에서 몇년간 감옥생활을 하다 풀려난 비행사의 이야기다.

 

P91

A pilot who was imprisoned in North Vietnam for many years, and lost eighty pounds and much of his health in a jungle camp. When he was released, one of the first things he asked for was to play a game of golf. To the great astonishment of his fellow officers he played a superb game, despite his emaciated condition. To their inquiries he replied that every day of his imprisonment he imagined himself playing eighteen holes, carefully choosing his clubs and approach and systematically varying the course. This discipline not only helped preserve his sanity, but apparently also kept his physical skills well honed.

(그는 풀려나자, 제일먼저 요구한 것이 골프게임을 하자는 것이었다. 동료들이 보기엔 놀랍게도, 그는 감금 상태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게임을 보여주었다. 동료들이 묻자, 그는 대답하길, 매일, 감옥에서 18홀에서 골프치는 모습을 상상하였다고 말했다. 주의깊게 클럽을 선택하고 어프로치하였으며, 조직적으로 코스를 다양하게 변경하였다. 이러한 훈련덕분에 그는 자신의 정신상태를 유지할 있었으며, 동시에 자신의 육체적 기술까지 유지할 있었다.)

 

얼마나 놀라운 상상력의 힘인가? 비슷한 이야기를 정신의 힘을 설명하는 다른 책에서도 여러 읽었던 같다. Flow 장소의 문제가 아니고, 정신의 문제임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되었다.

 

5 The Body in Flow(신체의 몰입)

높게,빠르게,강하게/움직임의 기쁨/몰입으로서의 섹스/궁극의 통제:요가와 무술/감각을 통한 몰입:보는것의 기쁨/음악의 몰입/미각의 기쁨

 

오늘보다 나은 자신을 만들겠다는 목표만큼 멋진 것이 있을까? 저자는 육체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몰입할 있는 하나의 예가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가장 간단하게 산책을 하는 만으로도 몰입할 있다는 것이다. 헨리 데이빗 소로우가 'Walking"이라는 책에서도 걷는 행위를 구도자들의 진리를 찾는 행위로 설명한 있다. 뭔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는 같다. 단순한 행동도 집중하면 몰입의 경지에 이를 있다.

 

섹스는 기본적으로 내재된 인간행위로서 대개 쾌락(pleasure) 느낄 있다. 그러나 flow 관점에서 , 섹스의 기쁨,쾌락은 반복되면 수록, 처음의 신선함은 사라지고, 이상 쾌락을 느끼지 못하는 지점까지 있다. 보통의 섹스가 flow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skills challenge 요구된다. 인류의 역사에서, 섹스관련 skills 다루는 책들이 여러가지 나오는 경우는 있었다. 그러나 궁극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 Sex flow 되기 위해서, 더욱 중요한 것은 상대에 대한 몰입, 감각에 대한 집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감각을 통한 특히 보는 (seeing) 통한 flow 대해 상세히 설명하다.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이 보는 (TV, 기타 영상 미디어) 채워져 있다는 것을 생각할 , 너무 보는 것이 많아, 오히려, 우리의 집중을 흐트러 놓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다. 하지만, 우연히 눈을 들어 창밖에 눈이 휘날리는 모습을 보거나, 차안에서 듣는 빗방울 소리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어느새 몰입의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경험을 때면, 우리의 감각을 통한 몰입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리라.

 

커피숍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들으며, 커피를 음미하며, 책을 읽는 행위는 이러한 모든 감각의 통합되어 보다 나은 몰입상태를 만들어 주는 같다. 가끔 도서관이나, 집의 서재보다 집중력이 고양되는 것을 보면 말이다.

 

6 The Flow of Thought(사고의 몰입)

과학의 어머니/마음의 게임의 규칙들/언어의 유희/Befriending Clio/과학의 기쁨/지혜사랑하기/아마츄어와 프로페셔널/평생학습의 도전

 

사고 또는 사상이라고 번역될 있는 파트인데, 지식을 통해 flow상태에 이를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억(memory) 의식의 통제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그외에 역사, 과학, 종교도 마찬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Reading 함으로써 flow상태에 이르다는 부분은 경험을 통해 매우 공감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