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번역

[스크랩] [09.3.19 미국섹션번역] Lexington-The other Obama

bitkhan 2009. 3. 27. 16:12

[09.3.19 미국섹션번역] Lexington-The other Obama

 

Lexington

The other Obama( 다른 오바마, 미셀)

Mar 19th 2009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Let Michelle be Michelle(미셀을 미셀로 놔두라)

BY ANY measure Michelle Obama is a remarkable first lady. She is highly educated, with degrees from Princeton and Harvard, and professionally accomplished, having worked for a top law firm, a big-city government and a big hospital. And she is the first first lady who is the direct descendant of slaves.

 

어느모로보나 미셀 오바마는 주목할만한 영부인이다. 그녀는 프린스톤 대학과 하바드 법대에서 학위를 받아, 교육수준이 높고, 최고 법률회사, 대도시 정부 그리고 대형병원에서 일함으로써, 직업적으로도 성취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노예의 직계 후손으로 최초의 영부인이 사람이다.

 

 Yet what have we heard about this paragon since her husband won the election? That she likes to display her “perfectly toned” arms in public. That she has a penchant for mixing designer clothes with J. Crew. That she and her husband had a romantic dinner together in a four-star Italian restaurant.

 

그러나 그녀의 남편이 선거에서 승리한 우리는 이러한 모범에 대해 무엇을 들어왔는가? 그녀는 완벽하게 톤을 맞춘팔을 공개석상에서 드러내길 좋아한다. 그녀는 디자이너 옷에 J.Crew 혼합하는 기호를 가지고 있다. 그녀와 남편은 4성급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낭만적인 만찬을 가졌다

 

Shortly after the election Rebecca Traister took aim in Salon, an online magazine, at the “momification of Michelle”. But since then Americans have been forced to endure the “Oprah-isation” and “Jackiefication” as well. Mrs Obama has graced the cover of Oprah Winfrey’s magazine O, made several appearances on low-end talk shows and earned the sobriquets “America’s next top model” and “leader of the fashionable world”.

 

선거 직후에 레베카 트레이스터(Rebecca Traister) 살롱이라는 온라인 매거진에서 미셀 미이라 만들기 비난했다. 그러나 이후로도 미국인들은 마찬가지로 오프라 만들기 재키 만들기 견뎌내어야만 했다. 미셀은 오프라 윈프리 매거진 0 표지를 장식했고 저급한 토크 쇼에 몇번 출연하였으며, “미국의 차세대 톱모델 패션계의 리더라는 별명을 얻었다.

 

The news stories about Mrs Obama are almost entirely devoted to fluff. CNN has run a segment on “how to get Michelle Obama’s toned arms”. Every fashion magazine worth the name has run pieces on “the secrets of Michelle’s style”. During the presidential campaign the New Yorker published a cover cartoon of Mrs Obama, complete with an Afro and a machine gun, exchanging a “terrorist fist jab” with her husband; the cover of the March 16th issue features the first lady strutting on the catwalk in three different outfits (none of them featuring bare arms).

 

미셀에 대한 뉴스는 거의 전부 경박한 것에 몰두하고 있다. CNN 미셀 오바마의 톤이 잘된 양팔갖는 이라는 것을 방송했다. 이름께나 있는 모든 패션 매거진은 미셀 스타일의 비밀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대통령 유세기간 중에 뉴욕커는 미셀이 아프로와 기관총을 가지고 남편과 함께 테러리스트 주먹잽 교환하는 커버 만화를 실었다. 3 16 커버는 영부인이 3개의 다른 (그들 어느것도 맨팔을 보여주지 않는) 입고 거드름피우며 패션쇼무대를 걸어가는 기사를 실었다.

 

This is more than just a response to public demand. The White House has been doing its best to turn the first lady into a celebrity mother-cum-clothes-horse. Her White House website describes her “first and foremost” as “Malia and Sasha’s mom” before adding that, “before she was a mother”, she was “Fraser and Marian Robinson’s daughter”. The White House has even engaged in debates with the press about whether Mrs Obama ought to go bare-armed to formal events.

 

이것은 대중의 요구에 대한 반응 이상이다. 백악관은 영부인을 유명인 엄마 옷과 말로 바꾸는데 최선을 다했다. 그녀의 백악관 웹사이트는 그녀를 최우선이자 최고의”(역할) 말리아와 사샤의 엄마 묘사했고, “그녀는 엄마이기 이전에” “프레이저와 마리안 로빈슨의 이었다는 것을 덧붙였다. 백악관은 심지어 미셀이 공식 행사에 맨팔로 가야만 하는지에 대해 언론과의 토론에도 관여하였다.

 

* First Lady Michell Obama 백악관 프로필: http://www.whitehouse.gov/administration/michelle_obama/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why the White House has chosen this tack. Hillary Clinton’s determination to act as a virtual co-president back in 1993 helped to create a backlash against her husband’s administration. It also raised uncomfortable questions about power and accountability. Given America’s continued neuroses about race, an outspoken black first lady might prove to be even more divisive than an outspoken white one.

 

백악관이 이런 전략을 선택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힐러리의 1993년에 사실상의 공동 대통령으로 행동하기로 결심은 클린턴 행정부에 역효과를 만드는데 일조했다. 또한 권력과 책임성에 대한 불편한 의문을 자아내게 했다. 미국의 계속되는 인종에 대한 노이로제를 감안해볼 , 목소리가 흑인 영부인은 목소리가 백인 영부인보다 더큰 불화로 판명될지도 모른다.

 

Mrs Obama is carrying a certain amount of baggage of her own—though not as much as Mrs Clinton. The Chicago hospital where she worked increased her salary from $122,000 to $317,000 shortly after her husband became a senator. She and her husband bought their $1.65m house with the help of a local property developer, Tony Rezko, who is now in prison. There is no shortage of conservative journalists who are willing to present her as “the bitter, anti-American, ungrateful, rude, crude, ghetto, angry Michelle Obama”, to quote one blogger.

 

미셀은 어느정도 그녀만의 짐을 가지고 있다-힐러리 만큼은 아니지만. 그녀가 근무했던 시카고 병원은 오바마가 상원의원이 직후 그녀의 봉급을 122,000달러에서 317,000달러로 인상했다. 그녀와 오바마는 지금은 감옥에 있는, 토니 레즈코라는 지역 부동산 개발업자의 도움으로 165 달러짜리 주택을 구매했다. 블로거의 말을 빌자면, 그녀를 신랄하고, 미국적이며, 감사를 모르고, 무례하고, 조잡하며, 빈민가의, 분노하는 미셀 오바마로나타내고자하는 보수주의 저널리스트들은 끊이지 않을 것이다.

 

So why not just wrap her in designer clothes and be done with it? Mrs Obama’s favourability rating now stands at 63%, up from 32% a year ago. She has embraced an admirable collection of good causes—helping women balance their careers and their families, supporting military families and encouraging national service. And recession-racked America craves a bit of glamour.

 

그녀를 디자이너 의상에 포장하여 끝내버리면 안되는걸까? 미셀의 호감도는 1 전의 32%에서 현재 63% 상승했다. 그녀는 칭찬할 만한 훌륭한 명분을 가지고 있다-여성들이 직장과 가정간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든지, 군인가족을 지원하고 국가 서비스를 촉진하는 . 그리고 경기침체로 지친 미국은 약간의 마법을 갈망한다.

 

But there is a danger that the White House is overreacting to Mrs Clinton’s failures back in 1993-94, and a worry that all this fluff is both demeaning to Mrs Obama and disappointing for some of her husband’s most passionate supporters, particularly professional women. Mrs Obama did not campaign as a traditional first lady, staring at her husband with dewy-eyed admiration and limiting her comments to bland pleasantries. She criss-crossed the country giving her own speeches. And powerful speeches they were too: intelligent, substantive and well-delivered. She was particularly important in shoring up her husband’s support among blacks (who were suspicious at first of his exotic background) and professional women (who were attracted to Hillary Clinton), earning the nickname “the closer” from the campaign for her ability to get people to sign up with Mr Obama.

 

그러나 백악관이 1993-4년도 당시 힐러리의 실패에 과도하게 반응한 것에는 위험이 있다. 모든 경박한 것이 미셀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오바마의 열렬한 지지자들, 특히 전문직 여성들을 실망시키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미셀은 남편을 촉촉한 경애하는 눈으로 바라보고 시시한 농담에 대해서만 의견을 내는 전통적인 영부인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그녀는 전국을 종횡무진하며 연설을 하였다. 그리고 연설은 강력했다. 지적이고 실체적이며 전달되었다. 그녀는 특히 흑인들사이에서 남편의 지지를 강화하는데 중요했다(흑인들은 처음 오바마의 이국적인 배경에 의문을 가졌다), 사람들이 오바마를 위해 서명하게 하는 그녀의 능력 때문에 선거유세중에 친밀꾼(the closer)”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Unleash her(그녀를 풀어두라)

 

Mrs Obama has a unique ability to act as an advertisement for the virtues of hard work and stable families. She grew up in a solid working-class family on Chicago’s tough South Side, sitting down to family dinner every night, attending a local magnet school and following her brother to Princeton. She is now repeating this virtuous pattern with her own children.

 

미셀은 열심히 일하는 안정적인 가정이라는 미덕을 홍보하는 역할을 하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시카고의 터프한 지역(South Side) 순수한 노동계급 가족에서 성장했으며, 매일 저녁 가족만찬에 앉았고, 지역 특성화 학교(magnet school) 다녔고 형제를 따라 프린스톤 대학을 갔다. 그녀는 현재 자녀들과 함께 이러한 미덕의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Mrs Obama also has a unique understanding of the precariousness of black life. Born six months before LBJ signed the Civil Rights Act, she has benefited from the explosion of opportunities for blacks in both higher education and the professions. But, as a child of an area that became the subject of William Julius Wilson’s classic book “When Work Disappears”, she also knows the devastation that job losses, drugs, crime and family break-up have wrought on the black working class. More than 60% of black children these days are brought up without a father.

 

미셀은 또한 흑인생활의 변덕스러움에 대한 독특한 이해력을 가지고 있다. LBJ 민권법에 서명하기 6개월전에 태어나, 그녀는 흑인들에게 일어난 고등교육과 직업에 대한 폭발적인 기회의 혜택을 누렸다. 그러나 윌리엄 쥴리어스 윌슨의 고전 “ When Work Disappears” 주제가 되었던 지역의 아이로서, 그녀는 또한 실직, 마약, 범죄 그리고 가족해체가 흑인 노동계층의 삶에 작용했던 파괴를 알고 있다. 현재 60%이상의 흑인 아이들이 아빠없이 성장하고 있다.

 

It is arguable, of course, that Mrs Obama is already doing enough to inspire her fellow Americans without running the risks inherent in pronouncing on policy. But during the campaign she raised a lot of thought-provoking questions—about “the flimsy difference between success and failure” in America, about the removal of rungs from the ladder of opportunity, and about the plight of families at the bottom of the heap. It would be good to hear a bit more about what Mrs Obama thinks and a lot less about what she wears.

 

미셀이 정책에 대해 발언하는 태생적인 위험을 무릅쓰지 않고 이미 동료 미국인들을 고취시키는 일을 하고 있다는 데에는 물론 논란의 여지는 있다. 그러나 선거유세중에 그녀는 많은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의문을 제기했다-“성공과 실패의 한꺼풀의 차이에 대해, 기회의 사다리에 오르는 계단을 없애는 것에 대해, 그리고 하층에 있는 가족들의 곤경에 대해. 그녀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좀 더 귀를 기울이고, 그녀가 무엇을 입는지에 대해서는 훨씬 적게 이야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Words and Expressions>

*paragon: 모범, 전형, (model); 매우 우수한 사람

.*penchant: 강한 경향, 취미(taste), 기호(for…) .

*take aim at sb/sth: 어떤 사물/사람등을 직접적으로 비난하다.=to direct your criticism at sb/sth.

*grace: v. 무엇가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다, 장식하다.=to make something more attractive; to decorate sth.

*low-end: 저급한,

*sobriquet: 별명(nickname).=an informal name or title that you give sb/sth.

* J.Crew: 의류회사 제이크루는 캐주얼하고 현대적인 패션 스타일인 `프레피 룩`으로 유명. 현재 226개 소매점과 74개 공장형 할인점을 운영하는 이 중저가 의류브랜드는 대통령 취임식 후 일약 유명 브랜드가 됐다. 취임식 때 미셸은 이 회사가 디자인한 올리브색 장갑을 착용했고, 두 딸도 제이크루에서 만든 울코트와 이에 어울리는 목도리와 장갑으로 귀여운 모습을 연출해 제이크루는 `오바마 가족의 의류브랜드`라는 명성을 얻었다.

*fluff: 경박한 ,entertainment that is not serious and is not considered to have great value. *strut: v.거드름피우며 걷다.

*neurosis: 신경증, 노이로제

*demean: 품위를 떨어뜨리다

*bland: 시시한, 매력없는 *plesantry: 익살, 농담

* magnet school 마그넷 스쿨(백인 학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뛰어난 설비와 교육 과정을 갖춘 매력적인 학교),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고 운영은 자율적으로 하는 미국의 '협력 학교'(magnet school), 특성화 학교는 형태, 규모가 다양하나 대체로 첫째, 특색있는 주제와 교육과정을 갖고 있고, 둘째, 학교의 특색을 고려한 학부모와 학생이 학교를 자주적으로 선택하며, 셋째, 교육구 밖에서도 학생을 받는다. 넷째, 인종 공학을 유지한다. 다섯째, 임시학교원조법에 따라 인종차별철폐 목적의 연방정부 보조금을 받고 있다.

.*wrought: (고어) work 과거,과거분사의 하나.

*devastation: 파괴, 황폐

* 다른 미셀 오바마 기사(뉴요커 2008.3.10)

http://www.newyorker.com/reporting/2008/03/10/080310fa_fact_collins?currentPage=all

 

출처 : 에피파니-영어독서클럽
글쓴이 : Khan(김동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