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4.16 미국섹션번역] Lexington-Obama derangement syndrome
Lexington
Obama derangement syndrome(오바마 혼란 신드롬)
Apr 16th 2009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The president is driving some people mad. That may be to his advantage in the short term
(오바마는 일부 사람들을 화나게 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그것이 그에게 이득이 될지도 모른다)
| |
| |
대부분의 사람들의 기준으로 볼 때 버락 오바마는 최고의 한주를 보냈다. 그는 해군특공대가 미국인 인질 1명을 구하고 3명의 납치범을 사살했을 때 반 카터(counter-Carter)의 순간을 즐겼다. 그는 경제에 관한 균형잡힌 연설을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덧붙여, 딸들에게 “보”라고 이름붙임 포르투갈산 워터 독을 주었다. 좋아하지 않을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Plenty, according to some people. Mr Obama may be widely admired both at home and abroad. But there are millions of Americans who do not like the cut of his jib—and a few whose dislike boils over into white-hot hatred. The American Spectator, which came of age demonising the Clintons, has run an article on its website on Mr Obama entitled “Il Duce, Redux?” The internet crackles with comparisons between Mr Obama and various dictators (Hitler, Stalin and Mussolini) or assorted psychotics (Charles Manson and David Koresh). When Jonah Goldberg, a conservative pundit, praised Mr Obama over the dispatching of the Somali pirates, his e-mail inbox immediately overflowed, he said, with “snark and bile”.
일부 사람들에 따르면, 많다. 오바마는 국내외에서 모두 폭넓은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수백만명의 미국인이 그의 말을 싫어한다-그리고 소수의 사람들은 싫어하는 것을 넘어 엄청나게 증오한다. 아메리칸 스펙테이터(American Spectator)는, 클린턴을 악마화하는데 성년의 시기가 된, 오바마에 대한 웹사이트에 “일 두스, 리덕스(무솔리니의 귀환)”라는 제목의 기사를 올렸다. 인터넷은 오바마와 여러 독재자들(히틀러, 스탈린, 무솔리니) 또는 걸맞는 정신병자들(찰스 멘슨과 데이비드 코레쉬)에 대한 비교로 떠들썩했다. 보수주의 전문가, 요나 골드버그가 소말리아 해적에 대한 군사배치로 오바마를 칭찬했을 때, 그의 이메일 박스는 “괴상한 것들”로 순식간에 넘쳐났다고 말했다.
A recent Pew poll showed that public opinion about Mr Obama is sharply divided along party lines. Some 88% of Democrats approve of the job that he is doing compared with only 27% of Republicans. The approval gap between the two parties is actually bigger than it was for George Bush in April 2001. Bush loyalists, led by Karl Rove, have duly over-interpreted this poll in order to soften their former boss’s reputation as America’s most divisive president. Today’s Republican base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Democratic base was in 2001, so surviving Republicans are more likely to have hard-core views. But there are nevertheless enough people out there who dislike the president to constitute a significant force in political life.
최근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오바마에 대한 대중여론은 당노선에 따라 첨예하게 나눠져있다. 오바마가 하는 일에 대한 지지도는 민주당이 88%로 공화당의 27%에 비교된다. 두당의 지지도 격차는 실제로는 2001년 4월의 조지 부시의 지지도 격차보다 크다. 칼 로브가 이끄는 부시 충성파들은 미국에서 가장 평가가 나뉘어지는 대통령이라는 이전 보스(부시)의 명성을 완화하기 위해, 이번 조사를 지나치게 해석하고 있다. 오늘날의 공화당 기반은 2001년 민주당 기반보다도 확실히 작아졌다. 그래서 남아있는 공화당원들은 더 강경한 입장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생명에서 중요한 동력을 구성하는 대통령을 싫어하는 무소속 사람들이 너무 많다.
As The Economist went to press, the bestselling book in the United States was Mark Levin’s “Liberty and Tyranny”. Mr Levin frequently denounces Mr Obama on his radio show as an exponent of the second of those two qualities. The new sensation in the world of cable is Fox News’s Glenn Beck, who has already attracted 2.2m regular viewers since his show was launched in January. Mr Beck recently apologised to his viewers for saying that Mr Obama’s America is on the path to “socialism” when it is really on the march to fascism. Media Matters, a left-wing organisation that monitors the media, reports that, since the inauguration, “there have been over 3,000 references to socialism, fascism or communism” in describing the president.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했듯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책은 마크 레빈의 “자유와 독재”이다. 레빈은 그의 라디오쇼에서 오바마를 두개의 자질중에 두번째 타입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케이블TV에서의 새로운 센세이션은 폭스 뉴스의 글렌 벡으로 그는 1월 개국한 이래로 벌써 220만명의 고정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벡은 최근에 오바마의 미국은 “사회주의”로 가는 길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 사과 했다, (왜냐하면) 오바마의 미국이 실제로 파시즘으로 가는 행진을 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를 모니터하는 한 좌익 기관인 미디어 매터(Media Matters)는 오바마의 취임이래로, 대통령을 묘사할 때 “사회주의, 파시즘, 또는 공산주의에 대해 3000건 이상의 언급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Rush Limbaugh claims that he has seen an uptick in his audience since he announced that he hopes that Mr Obama fails. He has no time for the idea that all Americans should wish their president well (“We are being told that we have to hope Obama succeeds, that we have to bend over, grab the ankles…because his father was black”). Mr Limbaugh is not the ankle-grabbing type. He has also added Robert Mugabe to the list of people to whom Mr Obama can be likened.
러쉬 림보는 그가 오바마가 실패하길 희망한다고 발표한 이래로 시청자가 상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모든 미국인들이 그들의 대통령이 잘되길 바래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우리는 오바마가 성공하길 바래야 하고, 몸을 숙이고 발목을 잡아야 한다고 들어왔다. 왜냐하면 그의 아버지가 흑인이기 때문에”) 림보는 발목을 잡을 타입은 아니다. 그는 또한 로버트 무가비를 오바마가 누구를 닮았는지 비교하는 리스트에 올렸다.
Why are some people so angry? For all his emollient manner and talk of “post partisanship”, Mr Obama is just as much an embodiment of liberal America as Mr Bush was of conservative America—an Ivy League-educated lawyer who became a community organiser before launching a political career in one of America’s most cosmopolitan and corrupt big cities, Chicago. Mr Obama almost lost the Democratic nomination to Hillary Clinton because of his lack of rapport with white working-class voters. In the general election he did worse than Michael Dukakis in the Appalachian states of Kentucky and West Virginia.
왜 일부 사람들이 그렇게 화를 낼까? “당파 이후”에 대한 그의 부드러운 매너와 화법으로, 오바마는 부시가 보수주의 아메리카의 표상이듯, 자유주의 아메리카의 구현체이다-그는 아이비 리그에서 교육받은 변호사로 커뮤니티 조직자로 이후에 미국에서 가장 세계적이며 부패한 대도시중의 하나인 시카고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한 사람이다. 오바마는 백인 노동계급 유권자들과의 유대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민주당내 경선에서 힐러리 클린터에서 거의 패배할 뻔했다. 대통령 선거에서 그는 컨터키와 웨스트 버지니아 등의 애팔래치아 주들에서 마이클 두카키스보다 더 안좋은 성적을 거뒀다.
Tough times make for tougher talk(어려운 시기가 거친 말을 만든다)
The economic crisis has transformed this cultural suspicion into a much more potent political force. It is true that Mr Obama’s solution to the recession—spending public money in order to stimulate demand and trying to prevent a run on the banks—is supported by most economists. Mr Bush would have done much the same thing. But it is nevertheless driving many Americans crazy. April 15th—the last day on which Americans can perform the melancholy duty of filing their tax returns—saw rallies (dubbed “tea parties” after the Boston one) in every state, 500 or so in all. The protesters, some of whom dressed in three-cornered hats and waved “Don’t tread on me” flags, repeated a litany of criticisms that has been mounting since Mr Obama won the election—that he is a big government socialist (or fascist) who wants to take people’s money away and crush their freedoms.
경제위기가 이러한 문화적 의구심을 훨씬 더 강력한 정치력으로 변화시켜왔다. 경기침체에 대한 오바마의 해법-수요를 진작시키기 위해 공적자금을 지출하고, 뱅크런(대량예금인출)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는-은 대부분의 경제학자의 지지를 받고 있다. 부시 대통령이라도 똑 같은 일을 했을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많은 사람들을 화나게 만들고 있다. 4월 15일-미국인들이 세금환급을 신청하는 우울한 의무를 수행하는 마지막날-에는 모든 주에서 500명 또는 전체적으로 그 정도 인원이 되는 (보스톤 차 사건 이후 “티 파티”라고 이름지어진) 대규모 집회가 있었다. 시위자들은, 그들 중 일부는 삼각모자를 쓰고 “날 밟지 마세요”라는 기를 흔들면서, 오바마가 선거에서 승리한 이후 계속 수위가 높아가는 비판-그가 큰정부 사회주의자(또는 파시스트)로 국민의 돈을 뺐어가고 그들의 자유를 부셔버린다는-을 되풀이하고 있었다.
It is hard to judge so early in the game what the rise of anti-Obama sentiment means for the Obama presidency. Bush-hatred eventually spread from a molten core of leftists to set the cultural tone of the country. But Obama-hatred could just as easily do the opposite and brand all conservatives as a bunch of Obama-hating cranks.
반 오바마가 정서가 상승하는 것이 오바마의 대통력직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하는 게임에서 너무 일찍 판단하기는 어렵다. 부시 증오가 결국은 좌익에서 시작하여 나라의 문화 톤을 결정하는데까지 확산되었다. 그러나 오바마 증오는 쉽게 그 반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모든 보수주의자들을 오바마를 증오하는 불평꾼으로 낙인찍을 수 있다.
What is clear is that the rapid replacement of Bush-hatred with Obama-hatred is not healthy for American politics, particularly given the president’s dual role as leader of his party and head of state. A majority of Republicans (56%) approved of Jimmy Carter’s job performance in late March 1977. A majority of Democrats (55%) approved of Richard Nixon’s job performance at a comparable point in his first term. But today polarisation is almost instant, thanks in part to the growing role of non-negotiable issues such as abortion in American politics, in part to the rise of a media industry based on outrage, and in part to a cycle of tit-for-tat demonisation. This is not only poisoning American political life. It is making it ever harder to solve problems that require cross-party collaboration such as reforming America’s health-care system or its pensions. Unfortunately, the Glenn Becks of this world are more than just a joke.
분명한 것은 부시 증오에서 오바마 증오로의 급속한 교체는, 특히 당수이며 국가수반이라는 대통령의 두가지 역할을 고려할 때, 미국정치를 위해 건강하지 않다는 것이다. 1977년 3월말에 공화당 다수(56%)가 지미 카터의 대통령직 수행을 지지했다. 민주당 다수(55%)는 첫임기에서 비교할만한 포인트로 리차드 닉슨의 업무수행을 지지했다. 그러나 오늘날 양극화는 거의 즉각적이다. 한편으로는 미국정치에서 낙태문제와 같은 타협할 수 없는 이슈들이 증가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분노에 기반한 미디어 산업의 성장때문에, 또 한편으로는 보복형식의 악마만들기 사이클 때문이기도 하다. 이것은 미국인의 정치생명을 중독시킬뿐만 아니라, 미국의 의료보험 시스템 또는 연금과 같은 초당적 협력을 요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만든다. 불행히도 이 세계의 글렌 벡 부류는 단지 농담 수준을 뛰어넘는다.
<Words and Expressions>
*American Spectator: 1924년에 창간된 미국의 보수우익 월간지. 웹사이트 http://spectator.org/
*Mark Levin’s New book: “Liberty and Tyranny” 아마존 책정보 http://www.amazon.com/Liberty-Tyranny-Conservative-Mark-Levin/dp/1416562850 유튜브 책관련 인터뷰자료 http://www.youtube.com/watch?v=m8nFc5c0kjE
*Media Matters: 2004년 설립된 비영리 웹기반의 진보성향의 연구/정보센터이며, 언론에서 보수주의의 오류를 조사, 분석, 교정하는 업무를 함. 웹사이트 http://mediamatters.org/
*snark: 괴상한 생물 [Lewis Carroll작의 The Hunting of the Snark(1876)속에 나오는 가상의 동물] *bile: 담즙, 분노, 분통
*tea party: 1773년 12월 16일 영국의 지나친 세금징수에 반발한 미국 주민들이 보스턴항에 정박한 배에 실려 있던 차 상자를 바다에 버린 ‘보스턴 차 사건’에서 따왔다. 현재의 오바마 정부의 대규모 경기부양안이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는 것이라고 납세자들이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는데, 이것을 ‘tea party’라고 언론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지미 카터-재임기간(1977-1981), 리차드 닉슨-재임기간(1969-1974)
*“Il Duce, Redux?” [일 두체]이탈리아어,영두자. 무솔리니의 칭호 Il Duce:The Life of Benito Mussolini : Christopher Hibbert, 1961 / Redux(=return) 명사뒤에서 돌아온, 귀환의 의미 / 파시즘:이들이 창조한 카리스마적 지도자상을 생각해보라. 강력한 개인 숭배는 파시즘의 전매특허였다. 심지어 이들은 지도자를 부르는 명칭까지 따로 만들어냈다. 무솔리니는 두체(Il Duce), 히틀러는 퓌러(Die F hrer), 프랑코는 카우디요(El Caudillo)라고 불리면서 마치 신처럼 군림했다. 전자책참조http://contents.wisebook.com/book_down/bookImg/Preview/0501/x/05010127/05010127.xml
'The Economist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09.4.30 미국섹션번역] Lexington-Party-hopping(당적변경) (0) | 2009.06.26 |
---|---|
[스크랩] [09.4.23 미국섹션번역] Lexington-After the dark side(어둠이 지나간 후에) (0) | 2009.06.26 |
[스크랩] [09.4.23 미국섹션번역] Lexington-After the dark side(어둠이 지나간 후에) (0) | 2009.05.03 |
[스크랩] [09.4.8 미국섹션번역] Lexington-Reflections on Virginia Tech (0) | 2009.04.17 |
[09.4.2 미국섹션번역] Lexington-A nation of jailbirds (0) | 2009.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