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6.6
그림책은 아기 손으로 스스로 보는 책
-마쓰이 다다시 후쿠인칸 서점 회장 인터뷰
Q. 아이가 스스로 책장을 넘기는 행동이 왜 중요합니까?
A. 현대에는 말의 세계에 깊이 들어가거나 아이가 언어를 제대로 받아들이는 힘이 키워지지 않고 있어요. 그래서 점점 독서력이 떨어지고 있는 겁니다. 글자를 읽을 줄 알아도 소용없어요. 책을 읽어내지 못합니다. 글자를 읽을 줄 알고 언어를 읽을 줄 알아도 언어의 세계에 들어가지 않으면 독서를 할 수 없습니다.
그림책은 손으로 넘기는 것입니다. 빨리 넘길 수도 있고 천천히 넘길 수도 있고 도중에 멈출 수도 있어요. 그리고 앞으로 돌아갈 수도 있고요. 하지만 TV나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매체는 이게 불가능합니다. 앞으로만 진행이 되죠. 그래서 영상은 그림책과는 완전히 다른 문화입니다.
그림책은 아이 스스로 손을 사용해서 봅니다. 손을 사용하는 게 매우 중요한데 머리를 쓰는 것 이상으로 중요합니다. 영상문화는 보여지는 것이죠. 하지만 그림책은 보여지는 게 아니라 스스로 보는 겁니다. 책의 가치가 거기에 있는 것이죠. 아이들이 손으로 넘기면서 책을 보게 되는데 넘기면 넘길수록 이야기가 나오게 되죠. 자신의 손을 힘직여서 책을 일어나가는 겁니다. 주어지는 게 아니에요. 스스로 적극적으로 이야기의 세계로 들어가는 거에요.
그리고 마지막에는 책장을 덮죠. 책장을 덮는 순간의 느낌이 아주 재밌습니다. '이제 끝.' 이런 느낌이죠. TV나 애니메이션으로는 절대 얻을 수 없는 부분이 아주 많습니다.
참고문헌
<뇌가좋은 아이>/신성욱 지음/마더북스, 241쪽
'영어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통합적 독서법(주제별 독서법, 비교독서법, 종합적 독서법)-최고의 독서법 (0) | 2012.10.25 |
---|---|
[스크랩] 커버읽기와 그림책 읽기 (0) | 2010.05.14 |
[스크랩] 영어원서 독서지수-내가 읽고 있는 영어원서가 쉬운 책인지, 어려운 책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 | 2010.04.08 |
영어원서를 읽으려면, 어휘를 어느정도 알아야 하나요? (기본어휘자료 첨부) (0) | 2010.03.26 |
[스크랩] The Road를 읽으며 (0) | 2010.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