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2.4 미국섹션번역] Lexington-Jumping the Gun(미리 시작하기)
취임도 하기 전에 이미 대통령의 첫 100일 시험을 치루고 있는 것 같은 오바마를 보며, 그렇게 된 이유를 분석하고 있네요. 첫째는 오바마측의 의도적인 면이 있음을 지적하지만, 더 큰 요인은 주변상황, 특히 현재의 경기침체가 그런 상황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까지는 잘해왔다고 평가하네요. 그림이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림을 보면, 부시가 있는 집무실에, 이미 오바마가 가방을 들고 와서 기다리고 있죠.
Lexington
Jumping the gun(미리 시작하기)
Dec 4th 2008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Barack Obama’s first 100 days have already begun
버락 오바마의 첫100일은 이미 시작되었다
| |
| |
[1] EVER since Franklin Roosevelt put the building blocks of the New Deal in place in his first 100 days in office, presidents have been subjected to the 100-days test. For that brief spell, they have a unique opportunity to put their imprint on history—a honeymoon period when the public gives them the benefit of the doubt and Congress defers to their popular mandate—and they squander it at their peril.
프랭클린 루즈벨트가 집무실에서의 첫 100일 동안에 뉴딜의 기초를 정상화시켰던 이래로, 대통령들은 100일 시험이라는 것을 치루게 되었다. 짧게 말해서, 그들은 역사에 자신의 흔적을 남길 독특한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밀월기간은 대중이 그들에게 유리하게 해석을 해주고 의회가 그들의 인기있는 공약을 받아들이기로 동의하는 기간이다. 그리고 그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이 기간을 마음껏 사용하였다.
*squander: [돈,시간 따위]를 낭비하다, 함부로 쓰다(…away), syn: waste, misspend, misuse, spend recklessly, spend unwisely, make poor use of.
[2] One of the most striking things about Barack Obama is that his 100 days seem to have already begun. Mr Obama repeatedly insists that America only has “one president at a time”. But since election day that “one president” seems to have been the junior senator from Illinois rather than the former governor of Texas.
버락 오바마에게 대하여 가장 눈에 띄는 것 중의 하나는 그의 첫 100일이 이미 시작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오바마는 반복해서 미국은 “한번에 단 하나의 대통령”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선거일 이후로, 그 “하나의 대통령”은 텍사스의 전 주지사(부시)가 아니라 일리노이의 신참 상원의원(오바마)인것처럼 보인다.
[3] Mr Obama has dominated the news with a relentless succession of carefully timed and often dramatic press conferences. He has embraced his former nemesis by making Hillary Clinton secretary of state. He has outraged the left by keeping Robert Gates at the Pentagon and making James Jones, a former NATO supreme commander who campaigned for John McCain, his national security adviser. He has reassured the markets by putting Tim Geithner in the Treasury and appointing Larry Summers as his White House economics guru. And he has made history by appointing Eric Holder as America’s first black attorney-general. The Justice Department, which once spied on Martin Luther King, will now be in the hands of a child of the civil-rights revolution.
오바마는 주의깊게 시기를 맞추거나 종종 극적인 기자회견을 무자비하게 진행하며 뉴스시간대를 점령해왔다. 그는 힐러리 클린턴을 국무장관으로 임명하므로써 그의 전 정적을 끌어안았다. 그는 로버트 게이츠를 국방부에 유임시킴으로써 좌파를 분노시켰으며, 존 매케인을 위해 선거운동을 했던 제임스 존스, 전 나토(NATO)최고 사령관을 국가안전 자문역으로 임명했다. 그는 팀 거스너를 재무장관에 임명하여 시장을 안심시켰고, 래리 서머스를 백악관 경제 전문가로 임명했다. 그리고 그는 에릭 홀더를 미국의 첫 흑인 검찰총장으로 임명하여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 법무부는 한때 마틴 루터 킹을 감시하기도 하였는데, 이제는 민권운동의 결과로 혜택을 받은 세대의 수중에 들어갈 것이다.
*outrage: v. 분개하게 하다, syn: enrage, infuriate, anger, offend, affront, displease
[4] This is partly deliberate stagecraft. Mr Obama and his adviser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the news. They have also long been obsessed by presenting a “presidential” image of Mr Obama, a man who was nothing more than a state senator four years ago.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의도적인 판짜기이다. 오바마와 그의 보좌관들은 뉴스를 점령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다. 그들은 또한 4년전에는 겨우 주 상원의원에 불과했던 오바마의 “대통령다운” 이미지를 만드는데 골몰하고 있다.
[5] In June he appeared at a Democratic governors’ meeting in Chicago accompanied by a presidential-looking seal—an eagle clutching an olive branch in one claw and arrows in the other and emblazoned with the slogan Vero Possimus (Yes we can). The seal soon disappeared in a hail of ridicule. In July he flew to Europe on a plane that looked remarkably like Air Force One and delivered a public addres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swooning Germans (his plans to give his speech at the Brandenburg Gate were eventually foiled, so he had to make do with a lesser monument). At the Democratic convention he gave a speech from a stage decorated with Greek pillars. This is not a man who is uncomfortable with the trappings of power.
지난 6월에 오바마는 시카고에서 있었던 민주당 주지사 모임에 대통령이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인장-한 발톱에 올리브 가지를 다른 쪽에는 화살을 움켜진 독수리, 그리고 ‘우리는 할 수 있다’라는 표어가 새겨진-가지고 모습을 드러냈다. 그 인장은 조롱속에 곧 사라졌다. 7월에 그는 에어포스 원(대통령 전용기)처럼 보이는 비행기를 타고 유럽으로 날아가서, 수십만의 독일인 앞에서 대중연설을 하였다. (브란덴브르크문에서 연설을 하려던 계획은 좌절되었고, 그래서 그는 좀 덜 중요한 기념비에서 하여야 했다).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그는 그리스식 기둥으로 장식된 무대에서 연설을 하였다. 이러한 것은 권력의 장식물을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람의 모습은 아니었다.
*Branderburg Gate: 1791년 프러시아가 전쟁에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위해 세워진 이문은 1961년 세워진 베를린 장벽과 함께 동서 냉전시대를 상징했으나 지금은 아이러니하게도 "평화의 문"을 상징하게 되었다
[6] But much more important than stagecraft is the force of circumstances. Americans are not only desperate for the change that Mr Obama offered. They are desperate for someone to fill the vacuum at the heart of government. The Bush presidency has been shrinking ever since his second-term agenda (primarily Social Security reform) collapsed in Congress and his remaining credibility was blown away in 2005 by Hurricane Katrina.
그러나 이러한 판짜기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주변환경의 힘이다. 미국은 오바마가 제공한 변화에 목말라 있을뿐 아니라 그들은 정부의 핵심에 있는 진공상태를 채워줄 누군가를 갈망하고 있다. 그의 두번째 임기 어젠다(첫째로 사회보장 개혁)가 의회에서 좌초되고, 그의 남은 신뢰가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날아가버린 후에, 부시 대통령의 영향은 점점 축소되어 왔다.
[7] Mr Bush gave a rare television interview to ABC News this week, in which he expressed sympathy for the victims of the recession and lamented intelligence failures before the Iraq war. But for most of the past year he has been missing in action—shunted to the sidelines by the McCain campaign and wheeled out only when the dismal economic news made a statement from the top man impossible to avoid. A president who enjoyed a highly successful first 100 days of his own—including a big tax cut and a sweeping reform of education—has all but vanished.
부시는 이번주 ABC뉴스에서 거의 텔레비전 인터뷰를 하지 않았다. 그는 뉴스에서 경기침체의 희생자들에게 연민을 표현했으며, 이라크 전 발발전에 정보전에서의 실패를 한탄했다. 그러나 작년 한해동안 대부분 그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 매케인 후보의 주변에 비켜있었으며, 우울한 경제소식이 대통령 성명을 불가피하게 할 때만 (마지못해) 대외적으로 나섰다. 자신의 첫 100일-대규모 세금감면과 대대적인 교육 개혁을 포함한-을 성공적으로 즐겼던 대통령은 거의 사라졌다.
[8] The scale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has also forced Mr Obama to adopt a quasi-presidential stance. The bad news has been so relentless (on December 1st the Dow dropped by 7.7% on news that the economy is officially in recession), and the policy response by the powers that be has been so confused (Hank Paulson first promised to buy up bad debt and then decided to take stakes in the banks instead), that America has sometimes seemed to be on the edge of a full-scale meltdown. Add the terrorist outrages in Mumbai to the mix and the president-elect has had no choice but to seize the limelight.
글로벌 경기 위기의 스케일 때문에 오바마는 준 대통령의 자리를 받아들였다. 나쁜 소식은 너무나 무자비했으며(12월 1일 다우지수는 경제가 공식적으로 침체에 들어섰다는 소식에 7.7% 하락했다.), 그리고 권력기관에 의한 정책대응은 너무나 혼란스러웠다(행크 폴슨은 처음에 불량 채무를 사겠다고 약속했다가 대신에 은행 주식을 가지겠다고 결정했다. 그래서 미국은 때때로 완전붕괴의 가장자리에 이른것처럼 보였다. 여기에 몸바이에서의 테러소식이 혼합되어 대통령 당선자는 할 수 없이 세상의 주목을 받는 입장이 되었다.
[9] The Bush administration has done as much as it can to reassure the markets that the transition will be seamless. And Mr Obama has done as much as he can to show that he has the wherewithal to run the economy—giving regular press conferences on the subject and outlining his proposed stimulus plan. A lame-duck Congress may even pass a version of that plan before Mr Obama comes to office. FDR had to wait until his inauguration before unleashing an avalanche of legislation. Mr Obama may be able to go one better and legislate from the “The Office of the President Elect”, as his new podium now has it.
부시 행정부는 시장을 안정시키고, 정권이양이 중단없이 이어지게 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만큼 했다. 그리고 오바마는 그가 경제를 운영할 필요한 수단을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할 만큼 했다. 그는 사안별로 정기적 기자회견을 하고 자신이 제시한 부양책을 설명했다. 레임덕에 빠진 의회는 심지어 오바마가 취임하기도 전에 그 계획의 버전을 통과시킬지도 모른다. FDR(루즈벨트)은 대규모 법안을 쏟아내기 전에 취임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오바마는 현재 있는 상태에서, 한결 나은 것을 할 수 있고, “대통령 당선인의 신분”에서 법안작업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wherewithal: 필요한 수단(means)
The downside(부정적인 측면)
[10] The premature start to Mr Obama’s first 100 days is rife with risk. Presidents inevitably use up their stock of political capital as they spend it. They also gradually start to disappoint their friends and allies. Mr Obama is shielded to some extent by his race and charisma. But he has already sorely tested the patience of some of his most loyal supporters—first by appointing so many Clintonites to high office and then by keeping Mr Gates at the Pentagon. Can it be long before the netroots begin to complain that they have been duped—that “change” is simply more of the same? And can it be long before the ravening beast that is the media tires of the story about the first black president and starts looking for Mr Obama’s feet of clay?
오바마의 시기적으로 이른 첫 100일은 위험으로 가득차 있다. 대통령들은 100일 동안에 불가피하게 자신의 정치적 자본을 다 써버리게 된다. 그들은 또한 차차 자신의 친구들과 지지자들을 실망시키게 된다. 오바마는 자신의 인종과 카리스마에 의해 어느정도 까지는 보호를 받는다. 그러나 그는, 첫째로는 고위직에 너무나 많은 클린턴 행정부때 인사를 임명하므로써, 그리고는 게이츠를 국방부에 유임시킴으로써, 이미 자신의 최고 열렬 지지자들 중 일부의 인내심을 격렬하게 시험하고 있다. 인터넷 정치활동가들(netroots)이 자신들이 같은 것보다 좀 나을뿐인 “변화”에 속았다고 불평하기 까지는 얼마나 걸릴까? 그리고 미디어라는 욕심사나운 야수가 첫 흑인 대통령에 대한 이야기에 식상하여 오바마의 약한부분(feet of clay)를 찾기 시작하기 까지는 또한 얼마나 오래 걸릴까.
*feet of clay: 성경 다니엘서 2:33 흙으로 만들어진 다리를 뜻하는 말로, 약한 부분을 말함
*netroots: 인터넷 정치 활동가, 네티즌(netizen)과 구별되어 좀 더 적극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표명함
[11] Against that it must be said that the imprint Mr Obama is already putting on history is impressive. He has demonstrated that he is self-confident enough to surround himself with big brains and strong personalities. He is also signalling that he intends to govern pragmatically—changing America’s foreign policy by degrees, not precipitously, and focusing his energies on America’s miserable economy. So far Mr Obama’s premature 100 days have gone better than anybody could have hoped.
그것과는 별도로 오마바가 이미 남긴 족적이 인상적이었다는 점을 이야기 하여야겠다. 오바마는, 자신의 주변에 거물들과 강력한 인사들로 무장할만큼 자신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그는 또한 (정부를) 실용적으로 운영 하고–미국의 외교정책을 허둥대지 않고 천천히 바꾸겠다는 것을, 그리고 그의 에너지를 미국의 우울한 경제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지금까지 오바마의 조기에 시작된 100일은 어느 누가 바랄 수 있는 것보다 더 잘 해왔다.
<표현정리>
1.jump the gun: 미리 시작하다 (to move or act impatiently before the correct or proper time.
2.give ~ benefit of the doubt: 의심스러운 점을 ~에게 유리하게 해석해 주다
3.seize the lightlight: 세상의 주목을 받다. Limelight-석회광(옛날 무대에서 스폿라이트로 썻다)
4.Branderburg Gate: 1791년 프러시아가 전쟁에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위해 세워진 이문은 1961년 세워진 베를린 장벽과 함께 동서 냉전시대를 상징했으나 지금은 아이러니하게도 "평화의 문"을 상징하게 되었다
5.wherewithal: 필요한 수단(means)
6.feet of clay: 성경 다니엘서 2:33 흙으로 만들어진 다리를 뜻하는 말로, 약한 부분을 말함
7.netroots: 인터넷 정치 활동가, 네티즌(netizen)과 구별되어 좀 더 적극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표명함
8.outrage: v. 분개하게 하다, syn: enrage, infuriate, anger, offend, affront, displease
9.squander: [돈,시간 따위]를 낭비하다, 함부로 쓰다(…away), syn: waste, misspend, misuse, spend recklessly, spend unwisely, make poor use of.
'The Economist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08.12.18 미국섹션번역] Lexington-Shenanigans and seriousness (0) | 2009.03.27 |
---|---|
[스크랩] [08.12.11 미국섹션번역] Lexington-Preventing genocide(대량학살 방지하기) (0) | 2009.03.27 |
[스크랩] [08.11.27 미국섹션번역] Lexington-Head of State(국무장관) (0) | 2009.03.27 |
[스크랩] [08.11.20 미국섹션번역] Lexington-How new a deal?(얼마나 새로운 계약인지?) update (0) | 2009.03.27 |
[스크랩] [08.11.13 미국섹션번역] Lexington- Ship of Fools(바보들의 배) (0) | 200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