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번역

[스크랩] [08.12.30 미국섹션번역] Lexington-Huntington’s Clash(헌팅톤의 충돌) update

bitkhan 2009. 3. 27. 15:57

[08.12.30 미국섹션번역] Lexington-Huntington’s Clash

 

Lexington

Huntington's clash(헌팅톤의 충돌)

Dec 30th 2008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One of America’s great public intellectuals died on Christmas Eve

미국의 유명한 공공지식인중의 한명이 크리스마스 이브에 운명하다

 

 

IN THE early 1990s America’s opinion-makers competed to outdo each other in triumphalism. Economists argued that the “Washington consensus” would spread peace and prosperity around the world. Politicians debated whether the “peace dividend” should be used to create universal health care or be allowed to fructify in the pockets of the people or quite possibly both. Francis Fukuyama took the optimists’ garland by declaring, in 1992, “the end of history” and the universal triumph of Western liberalism.

 

1] 1990년대 미국의 여론형성가들(opinion-makers) 승리주의(triumphalism)에서 서로 다른 사람들을 이기려고 경쟁했다. 경제학자들은 워싱턴 합의(Washington consensus)” 세계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치인들은 평화 배당금(peace dividend)” 보편적 건강보험을 만들거나, 사람들의 주머니를 불리거나 아니면 두가지 용도 모두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프란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 1992 역사의 종언(The End of History)”이라는 책에서 서구 자본주의의 보편적 승리를 선언함으로써 낙관주의자들의 화환을 차지하였다.

 

Samuel Huntington thought that all this was bunk. In “The Clash of Civilisations?” he presented a darker view. He argued that the old ideological divisions of the Cold War would be replaced not by universal harmony but by even older cultural divisions. The world was deeply divided between different civilisations. And far from being drawn together by globalisation, these different cultures were being drawn into conflict.

 

2] 새무얼 헌팅톤은 모든 것이 터무니없는 소리(bunk)라고 생각했다. “문명의 충돌(The Clash of Civilisations)”이라는 책에서, 그는 조금 어두운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냉전시대의 이데올로기적 분할은 세계적인 조화가 아니라 심지어 오래된 문화적 분할로 대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계는 서로 다른 문명으로 심하게 나누어져 있다. 세계화(globalization) 의해 통합되고 있기는커녕, 이들 다른 문화들은 충돌하고 있다.

 

Huntington added another barb to his argument by suggesting that Western civilisation was in relative decline: the American power-mongers who thought that they were the architects of a new world order were more likely to find themselves the victims of cultural forces that they did not even know existed. The future was being forged in the mosques of Tehran and the planning commissions of Beijing rather than the cafés of Harvard Square. His original 1993 article, in Foreign Affairs, was translated into 26 languages and expanded into a best-selling book.

 

3] 헌팅톤은 서구 문명은 (다른 문명에 비해) 상대적 퇴보를 보이고 있다고 제시하면서 그의 주장에 하나의 날카로운 비판(barb) 덧붙였다: 미국의 권력광(power-monger)들은 그들이 신세계 질서의 건설가들이며, 자신들은 그들이 존재하는지조차 몰랐던 문화적 힘에 의한 희생자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 미래는 테헤란의 모스크에서 만들어 지고 있으며, 하바드 광장의 카페보다는 베이징의 계획위원회에서 만들어 지고 있다. 헌팅톤이 포린 어페어즈(Foreign Affairs)라는 잡지에서 발표한 그의 원본 1993 기사는 26 언어로 번역되었고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The “Clash of Civilisations?” was only the most famous of numerous exercises in goring sacred cows. In “The Third Wave: Democratis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1991), he argued that democratisation might have more to do with the Second Vatican Council, which had unleashed a wave of democratisation across the Catholic world, than with the spread of free-markets. In “Who Are We? The Challenges to America’s National Identity” (2004) he challenged the reigning orthodoxy of multiculturalism, pointing out that American civilisation is the product of Anglo-Saxon Protestant culture, and warning that the huge influx of Latinos threatened to unmoor it from its roots.

 

4] “문명의 충돌 성스러운 소를 뚫어 부수는 여러가지 운동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었다. “3 물결(The Third Wave): 20세기 후반의 민주화(1991)”라는 책에서, 헌팅톤은 민주화가 자유시장의 전파보다는 카톨릭 세계에서 민주화의 물결을 풀어놓은 2 바티칸 공회(The Second Vatican Council)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누구인가?(Who Are We?):미국의 국가 정체성에 대한 도전” 이라는 책에서는 다문화주의의 지배적인 정설(orthodoxy) 공격하며, 미국의 문명은 앵글로 색슨 프로테스탄트 문화의 산물이며, 라틴인구의 대규모 유입이 미국을 뿌리부터 벗어나도록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하였다.

 

Huntington’s last book earned him a reputation as a crusty old reactionary. He certainly became a hate figure to the left and a hero to many conservatives. But his politics were altogether more complicated. He was a lifelong Democrat, a representative of that dying breed, the hard-headed cold war liberal. He wrote speeches for Adlai Stevenson and acted as a foreign-policy adviser to Hubert Humphrey. He briefly served in the Johnson and Carter administrations (he was a particularly close friend of Zbigniew Brzezinski, one of Barack Obama’s early backers). He was a fierce opponent of the neoconservatives who thought they could transplant American values into Mesopotamia.

 

5] 헌팅톤은 마지막 (“우리는 누구인가?”)으로 인해 심술궂은 반동주의자(crusty old reactionary)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는 분명히 좌파에게는 혐오인물(hate figure) 되었으며 많은 보수주의자에게는 영웅이 되었다. 그러나 그의 정치학은 전체적으로 보아 더욱 복잡하다. 그는 평생 민주당원이었으며, 사라져가는 (breed)인 강경 냉전 자유주의자의 대표자였다. 그는 아드라이 스티븐슨(Adlai Stevenson) 위해 연설문을 썼고, 휴버트 험프리(Hubert Humphrey) 외교정책자문역을 하였다. 그는 존슨과 카터 행정부에서 짧은 기간동안 일하였다 (그는 특히 버락 오바마의 초기 후원자(backer)였던 즈비뉴 브르제진스키(Zbigniew Brzezinski) 절친한 친구였다). 그는 미국인의 가치를 메소포타미아(중동) 이식할 있다고 생각했던 네오콘(신보수주의자) 맹렬한 반대자였다.

 

But he believed that it was vital to mix liberal idealism with a pessimism rooted in a conservative reading of history. He rejected the economic reductionism that drove the Washington consensus, and insisted instead on seeing people as products of culture rather than as profit-and-loss calculating machines. He also rejected the beguiling idea (some say it has beguiled The Economist) that all good things tend to go together—that free markets go hand in hand with pluralism, democracy and the American way. He felt that America was a living paradox: America’s culture turned it into a universal civilisation but those values were in fact rooted in a unique set of circumstances.

 

6] 그러나 그는 자유주의적 이상주의(liberal idealism) 역사를 보수적으로 읽는데 고착한 비관주의(pessimism) 혼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믿었다. 그는 워싱톤 합의를 이끌었던 경제적 환원주의(economic reductionism) 거절했으며, 대신 사람들을 손익계산을 하는 존재라기 보다는 문화적 산물로 보아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모든 선한 것은 동행하려는 경향이 있다-예를 들면, 자유시장은 다원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미국적 방식과 함께 간다는- 기만적인 사상(어떤이는 그것이 이코노미스트 잡지를 속여왔다고 하지만) 거부했다. 그는 미국은 살아있는 패러독스, 다시말해 미국문화가 전세계에 널리퍼진 문명이 되었으나, 이들 가치는 사실 독특한 환경들에 뿌리박고 있다고 느꼈다.

 

For all his long career and prodigious energy—Huntington was on the Harvard faculty for 54 years and wrote 17 books on a wide variety of subjects—he will always be associated with the phrase “the clash of civilisations”. How well does his argument hold up 15 years after he first penned it?

 

7] 그의 오랜 경력과 다작의 에너지-헌팅톤은 54년간 하바드 교수로 재직했으며, 다양한 주제에 대해 17권의 저술을 했다-에도 불구하고, 그는 항상 문명의 충돌이라는 문구로 연상될 것이다. 그가 처음 그것을 저술한 지 15년이 지난 지금, 그가 주장한 내용은 (과연) 얼마나 들어맞는 것일까?> 그가 처음 그것을 저술한 지 15년이 지난 지금, 그가 주장한 내용은 (과연) 얼마나 들어맞는 것일까?

 

Both well and badly. Huntington came as close as anybody to predicting September 11th and the “war on terror” with his strictures about Islam’s “bloody borders”. He also came as close as anybody to predicting America’s agonies in Iraq by pointing out that democracy is the product of very specific cultural processes. His argument that modernisation does not necessarily entail Westernisation also looks prescient: why should the Chinese embrace the American economic model when it seems to produce such economic havoc? And why should authoritarian regimes in the Middle East embrace democratisation when it might mean handing power to Islamists? The master emerges better than his pupil, Mr Fukuyama.

 

8] 맞는것도 있고, 그렇지 않는 것도 있다. 헌팅톤은 9 11(세계무역센터 폭발) 이슬람의 유혈적 경계 대한 그의 비평(strictures) 함께 테러와의 전쟁 예언한 사람이 되었다. 그는 또한 민주주의는 아주 특별한 문화적 과정들의 산물이라고 것을 지적함으로써 이라크에서의 미국의 고뇌를 예언한 사람이 되었다. 현대화는 반드시 서구화와 맞물릴 필요는 없다라는 그의 주장은 선견지명이 있는(prescient)것처럼 보인다: 중국은 나라가 그러한 경제적 혼란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보일 미국적 경제 모델을 받아들여야만 했는가? 그리고 중동의 독재정권은 자신들이 이슬람주의자들에게 권력을 넘겨주다는 것을 의미할지도 모르는 때에 민주화를 받아들였는가? 스승(헌팅톤) 그의 제자인 후쿠야마보다 낫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Right up to a point(어느정도까지는 맞다)

 

But the corrective itself has needed correcting. Huntington defended his taste for the broadest of brushes on the grounds that, without one, you are left with what William James called “a bloomin’ buzzin’ confusion”. But his pronouncements often distorted reality rather than imposed order on it. He skated over the fact that many of the nastiest clashes take place within civilisations rather than between them: more Muslims die at the hands of their fellow Muslims than die at the hands of “Jews or Crusaders”; and Europeans fought the 20th century’s bloodiest conflicts among themselves. He also downplayed the extent to which the American model attracts people the world over: the Chinese business elite are much more interested in Silicon Valley than in their Confucian past. His arguments can produce policies that are just as naive as those he excoriated: policies that drive Muslims together into a single angry mass, rather than prising them apart, for example, and policies that encourage Western self-doubt just as surely as do the hand-wringing of the multiculturalists.

 

9] 그러나 교정주의 자체는 교정을 필요로 한다. 헌팅톤은, 누군가 한 사람이 없다면, 당신은 윌리엄 제임스가 “지독하게 웅성대는 혼돈(blooming buzzing confusion)이라고 말한 상태에 처할 것이다 라는 말로 자신의 논리를 변호했다. 그러나 그의 선언은 종종 그것에 질서를 부여하기 보다는 현실을 왜곡하였다. 그는 가장 고약했던 충돌들은 문명들 사이에서 보다는 (같은)문명 안에서 발생했다는 아슬아슬한 문제를 다루었다, 예를들면, 무슬림은 유대인이나 십자군 기사 손에서가 아니라 같은 무슬림의 손에서 많이 죽었으며, 유럽인들은 자신들 내부안에서 20세기 가장 유혈이 낭자한 충돌을 일으켰다. 그는 또한 미국적 모델이 세계에 걸쳐 사람들을 끌어당겼던 정도(extent) 과소평가하고 있다: 예를들면, 중국의 비즈니스 엘리트는 자신들의 과거 공자 사상보다는 실리콘 밸리에 훨씬 많은 관심을 가진다. 그의 주장은 그가 몹시 비난했던(excoriated)정책들 만큼이나 순진한 정책을 만들어 낼 있다: 예를들어, 무슬림을 분리시키기 보다는 규합시켜 하나의 성난 집단으로 몰아가는 정책들, 그리고 다문화주의자들의 손목꺽기와 마찬가지로, 서구의 자기 회의자들을 고무시키는 정책들을 말이다.

 

Huntington was a remarkable figure for all sorts of reasons, but most importantly because he was willing to question the excessive liberal optimism of the 1990s. Perhaps the best tribute that can be paid to him now is to question the excessive Huntingtonian pessimism that is now threatening to replace it.

 

10] 헌팅톤은 이런 모든 이유로 주목할만한 인물이었지만, 가장 중요하게는 그가 1990년대의 과도한 자유주의적 낙관주의에 이의를 제기하였다는 이유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그에게 있는 최고의 찬사(tribute) 현재 그것을 대체하려고 위협하는 과도한 헌팅톤식의 비관주의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다.

 

<Words and Expressions>

1. Washington consensus : ‘워싱턴 합의란 미국과 국제금융자본이 미국식 시장경제체제를 개발도상국 발전모델로 삼도록 하자고 한 합의를 말한다. 냉전 붕괴 이후 미 행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등 워싱턴의 정책 결정자들 사이에서는위기에 처한 국가또는체제 이행중인 국가에 대해 미국식 시장경제를 이식시키자는 모종의 합의가 이뤄졌다. 미국의 정치경제학자 존 윌리엄슨은 1989년 자신의 글에서 이를워싱턴 합의라고 불렀다. 워싱턴 합의는사유재산권 보호정부 규제 축소국가 기간산업 민영화외국자본에 대한 제한 철폐무역 자유화와 시장 개방경쟁력 있는 환율제도의 채용자본시장 자유화관세 인하와 과세 영역 확대정부예산 삭감경제 효율화와 소득분배에 대한 정부지출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한다.

 

2. triumphalism: 승리주의 (특정한 교의(敎義)가 다른 그 어느 종교보다도 뛰어나다고 여기는 신념·주장)

3.skate over thin ice: 아슬아슬한 문제를 다루다(~에 잘 대처하다)

4. peace dividend 평화 배당금 ((냉전종식 무기 감축 협상 으로 절감국방비복지 교육 등에 할당으로 기대예산))

출처 : 에피파니-영어독서클럽
글쓴이 : Khan(김동규) 원글보기
메모 :